여성·아동 대상 범죄 지능화·잔혹화 추세 대응 위해
프로파일러-일선지구대 간 전문적 공조체제 마련 필요

2006년 2월 서울 용산 초등생 살해사건, 2007년 3월 제주도 서귀포 초등학생 성추행 후 살해사건, 그리고 지난해 성탄절 날 실종된 후 80여일 만에 처참한 주검으로 가족 품에 돌아온 2명의 안양 초등생 살해사건.

모두 집 근처에서 ‘아는 사람’에 의해 살해당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경찰의 낡은 수사기법이 초동수사의 실패로 이어져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는 점이다.

여성·아동 대상 범죄가 나날이 지능화되고 잔혹해지고 있는 추세에 이에 대응해 경찰청이 ‘프로파일러’(profiler·범죄심리분석가) 인력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범죄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다.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발전한 인터넷 문화와 ‘C.S.I’ 등 각종 지능범죄 드라마들 때문에 범인들이 나날이 ‘똑똑’해지고 있는 데 비해 한국의 경찰은 구태의연한 수십년 전 수사기법을 고수하며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것에 소극적이다.

범죄심리를 분석하는 프로파일러는 범죄 현장을 단서로 ‘신원 미상인 사람의 성격과 특징을 목록으로 만듦’으로써 범죄자의 유형을 좁혀나가며 압박한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 초반 FBI에 행동과학부가 창설되면서 본격적인 프로파일링 수사기법이 도입돼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국내에선 2000년 초에야 서울지방경찰청에 프로파일링 팀이 설치됐다.

문제는 사건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프로파일러를 충분히 갖추지 못한 데다 일선 현장에서의 공조체제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프로파일러의 운영은 경찰청 산하 과학수사센터 범죄정보지원계가 총괄하고 있는데, 관계자에 따르면 경찰청 소속 프로파일러는 전국적으로 50여명 규모이며, 특히 2005년부터 ‘특채’로 3기까지 배출된 프로파일러들 중 여성 비율이 70%에 육박한다. 그러나 향후 구체적인 모집계획은 딱히 잡혀 있지 않다.

전문가들이 더욱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것은 프로파일러들이 전국 16개 ‘청’ 단위에 일정 수만 배정돼 있고, 실제 사건 현장과 가까운 일선 지구대와는 거의 공조체제를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같은 비효율성은 초동수사 실패로 필연적으로 이어지며 이번 안양 초등생 사건처럼 사건을 장기화시키게 된다.

국내의 대표적 민간 프로파일러인 이수정 경기대 교수(범죄심리학)는 “요즘은 ‘힘’으로 범인을 검거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프로파일러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진다. FBI만 해도 심리학박사 출신 프로파일러 300여명이 활동 중이고, 석사 출신은 수도 헤아릴 수 없다”며 “현재 프로파일러들이 ‘청’ 단위로 소속돼 있더라도 초동수사부터 지구대와 공조수사를 펼 수 있도록 기존 체제를 과감히 뜯어고쳐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경찰이 공적수사 관행을 과감히 탈피할 것을 촉구했다.

돈, 치정, 원한 등 예측가능한 범죄 동기를 뛰어넘어 ‘그곳에 있었다’는 사실이 곧 살해 이유가 되는 요즘, ‘범인의 마음을 읽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활용 필요성을 가장 시급히 체감해야 할 곳은 바로 경찰청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