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가 협력하면 여성의 행복지수가 높아진다. 삶의 공간으로서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농촌에 사는 여성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농촌에 사는 데 어려운 점을 꼽으라면, 대부분의 젊은 농촌 엄마들은 영유아 보육·교육 인프라 부족을 꼽는다. 농촌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도시지역보다 높아서 이런 욕구가 절실하다.

그동안 농촌 여성단체들은 정부 차원의 영유아 보육·교육시설 대폭 확충을 건의해왔다. 관련 부처도 소관 업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를, 교육인적자원부는 병설유치원의 운영 내실화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왔다.

문제는 부처별 각개 약진으로는 농촌지역 영유아 지원체계가 잘 구축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여가부가 의욕적으로 국·공립 보육시설을 설치하려 해도 지방비를 부담해야 하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이 없으면 힘들다. 병설유치원의 수요자 요구에 부응하는 운영방식의 전환도 유아의 숫자가 너무 소수이면 실천하기 쉽지 않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정부 부처가 손잡고 나섰다. 지난해 교육부와 여가부가 공동으로 첫 작품을 냈다. 농어촌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설치돼 있으면서 영아 보육수요가 있을 경우 학교의 유휴교실을 활용해 영아전담 보육시설을 만들어 보육수요를 수용키로 한 것이다. 

유휴교실이 있음에도 병설유치원도 없고, 병설유치원 설립과 운영계획조차 없다면 영유아(0~5세)를 대상으로 한 보육시설이 입주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교육부 소관시설에 여가부 소관업무를 융합한 형태다. 시설 설치의 추가부담도 없으면서 영유아 보육과 초등학생 교육을 연계할 수 있어 일거양득인 셈이다.

농촌지역 육아 지원체계의 융합에 이어 성인교육에도 이러한 협력시스템이 도입되기를 제안한다. 뉴질랜드는 농촌 교육활동 프로그램(REAP·Rural Education Activities Program)이라는 비영리조직을 만들어 지역주민에게 평생 동안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취학 전부터 성인교육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이고 선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데 주류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결함을 보충한다. 뉴질랜드 농림부와 교육부의 상호협력 속에서 운영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질 높은 평생교육에 목말라하는 농촌여성들을 위한 접근성 높은 협력교육체계가 마련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