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환경연합 주최로 대선후보들을 초청한 가운데 각 후보들의 환경정책을 발표하고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권영길 민주노동당 후보와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각 당의 정책위 의장들은 환경정책을 소개하고 전문가, 패널과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뜨거웠던 이날의 토론을 토대로 주요 대선후보 4명의 환경공약을 점수로 매겨보고자 한다.

우선,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는 물 부족과 에너지 수급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을 높이 사고 싶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문제를 전지구적 시각으로 접근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민주노동당의 경우 개발지상주의를 제대로 반성하고 온실가스 20% 감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환경선진국으로 나아가겠다는 야심찬 비전이 칭찬받을 만하다. 창조한국당은 의외로 100대 공약에 환경의제가 미흡한 수준으로 포함돼 실망을 안겨주기도 했다. 하지만 IT, DT산업과 연계한 자원을 절반 이하로 줄여 쓰는 기술 개발을 통해 근본적인 환경문제 해결과 산업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신선한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마지막으로 한나라당은 ‘경부운하’로 대표되는 반환경적 사업과 관련해 환경파괴가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과 방법을 제시하지 못해 미흡한 모습을 보였다. 또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환경정책’을 따르겠다는 다소 애매한 말을 계속해 한나라당에서 생각하는 환경선진국 모델이 무엇인지에 관해 의문을 가지게 했다.  사실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집만 보면 환경단체와 시민들이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될 만큼 충실한 약속들이 많이 담겨 있다. 그러나 공약을 실행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환경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현실적인 이유를 들어 그리로 가는 것이 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각 후보의 정책을 꼼꼼히 평가하는 일 못지않게 대통령이 된 사람의 정책 이행 정도를 끈질기게 감시하는 것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유권자의 책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