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전문가 도쿄대서 고령화 사회 ‘돌봄’ 환경 심포지엄

“초고령화 사회, 우리는 (물질적 발전 중심의) 근대국가를 넘어 삶과 죽음의 철학까지 포함하는 돌보는 사회로 어떻게 바꾸어 나갈까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조한혜정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5월 16일 도쿄대 사회학과 우에노 교수가 고령화 사회를 고민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한·일 전문가 집단과 다양한 전공의 학부, 대학원생 등 100여 명이 참여해 3시간을 넘긴 논-스톱 심포지엄을 도쿄대 공학관에서 열었다. 주제는 ‘돌봄과 환경’. 논점은 누구와 어떤 방식으로 노년을 보낼 것인지를 대전제로 노인부양이 가족, 특히 여성 개인을 넘어 사회화될 수밖에 없는 당위성, 이 부분에 대한 지역공동체의 개입과 역할, 시설의 폐쇄성을 극복한 생활친화성, 그리고 대다수 공동체의 ‘여성’노인 중심 참가와 운영에서 ‘남성’노인 공동체로의 모색 등이었다.

고령자 주택의 선구자로 ‘개혁적 사회사업가’로도 불리는 다카하시 ㈜생활과학운영 회장은 “여성 노인에 대한 상담을 계기로 50개 이상의 고령자 공동주택을 만든다는 50년의 장기 비전을 가지고 생활·가족·커뮤니티에 대해 고민과 모색을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실버산업에 뛰어든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획일화·대규모·도시 중심을 컨셉트로 하는 대기업이 절대 할 수 없는 ‘자유·소규모·전원’ 등의 전략을 철저히 구사함으로써 비영리조직(NPO) 기업의 경쟁력을 살려가고 있다”고 전했다.

지카야마 NPO 복지맨션을만드는모임 이사장은 “친구들과 놀고 배우며 자기답게 살고, 갈등을 통해 강함을 체득하는” 시즈오카현 이즈시의 노인공동체 ‘친구들마을’의 삶의 철학을 전했다.

변화순 여성개발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10년도 채 못돼 프랑스, 일본 등 그 어떤 선진국보다도 빠르게 노인인구 15% 대의 고령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노인인구 대부분이 여성이면서 주 부양자가 며느리와 딸로 한정돼 “결국 고령자 문제는 여성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중증노인 요양 전문시설 은성원 김정희 원장은 “한국에선 2007년부터 노인 장기 지원책으로 개호보험이 실시될 예정이나 일본과 달리 노인층이 경제력이 없어 부양비용을 자녀 세대에 전가해야 하는 만큼 소규모 지역 중심으로 비용을 최소화하는 검소시설로 가야 하고, 이 때 국민 특히 여성들의 관련 예산 편성과 실행에 대한 감시역할이 중요해진다”고 주장했다.

심포지엄에선 일본 노인들의 생활공동체가 페미니스트 집단을 중심으로 활발히 형성된 사례를 들어 우에노·이혜경 교수가 결론 내렸듯이 “기존 제도 개혁엔 여성의 힘이 크게 작용하므로 여성의 눈으로 고령자 대책을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과, 우에노 교수의 비유대로 “(돌봄노동의 사회화를 주장해 제도 변혁을 일으키는) 나쁜 며느리가 좋은 사회를 만든다”는 전제에 강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와 함께 병원 건축 전문의 나카사와 도쿄대 건축학과 교수의 지적대로 남성 노인들이 생활공동체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선 “(배려와 돌봄 능력이 결핍됐음을) ‘장애’라 인정하고 뒤늦게라도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만드는 것이 유일한 희망”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