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JPG

이 글은 캐나다 토론토대 홍성

욱 교수가 부인 조영란씨와 편저

해 올 가을쯤 창작과비평사에서

출간할 '페미니즘을 통해 본 과

학, 기술, 의학'에 수록될 내용

중 일부다. 홍 교수는 서울대 물

리학과와 동대학원 과학사 박사

과정 졸업후 수백명의 경쟁자를

물리치고 토론토대에 이례적으로

임용됐다. 그는 92년 미국의 과

학사학회상, 97년 기술사학회상

을 수상하는 등 주목받는 과학사

학자다. 또 미국의 유수대학과

연구재단들의 프로젝트들도 성공

리에 진행했다. 부인 조영란씨

역시 토론토에서 의학사 박사과

정을 밟고 있다.

'편집자 주'

한국인으로 첫 번째로 (양)의사

자격증을 딴 사람이 서재필이란

사실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얘기다. 서재필은 1892년 컬럼비

아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인

으론 첫 MD(medical doctor)가

되었으며, 미국에서 개업해서

(정치가로 고국에 돌아오기 전까

지) 당뇨병 전문의로 명성을 날

리기도 했다.

그렇다면 두 번째 의사는 누구

인가? 놀라운 것은 한국 사람으

로 두 번째 의사가 에스더 박

(Esther K;IM Park, 1877-1910)

이란 여성이라는 사실이다. 그는

1900년 볼티모어에 있는 여자의

과대학(Women's Medical

College)을 졸업하고 의사가 되

어 귀국, 10년간 수만명의 환자

를 돌보면서 보건환경 개선과 여

성의료인력 양성에 선구적인 역

할을 했다. 이 글은 단편적으로

남아있는 사료에 근거해서 에스

더 박의 생애를 조명하기 위해

쓴 것이다.

수간호사, 여학교 교장 배출한

개화한 집안

1877년 3월 16일에 태어난 박

에스더의 본명은 김점동(金點童)

이다. 그의 가계에 대해 알려진

바는, 본이 광산(光山)이고 그의

아버지가 1885년 한국에 왔던 감

리교 목사 아펜젤러(H.G.

Appenzeller)의 일을 도와주던

사람이었다는 정도에 불과하다.

그는 딸 넷 중 장녀였는데, 그의

자매중에는 나중에 세브란스 병

원의 수간호사가 되었던 사람도,

서울 장로교에서 운영하는 여학

교의 교장이 된 사람도 있었을

정도로 가계엔 개화한 사람이 많

았다.

김점동의 집은 서울 정동에 있었

다. 집 근처에 감리교회 여선교

사였던 매리 스크랜턴(Mary F.

Scranton) 부인이 1886년 설립한

‘이화학당’이 있어서 점동은

이 학교에 들락거릴 수 있었고,

1886년 겨울 4번째 학생으로 이

화학당에 입학했다. 당시에 항간

에는 외국인 학교에 자식을 보내

면 외국인 선교사가 애들을 외국

으로 팔아먹는다는 얘기가 무성

했고, 선생들은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부모를 만나서

이런 얘기가 사실 무근임을 설득

해야만 하는 형편이었다. 김점동

의 부모도 처음에는 딸을 학교에

보내는 것에 반대가 심했다고 한

다.

개교 초기의 이화학당은 학생들

에게 한글, 한문, 성경, 산수, 가

사를 가르쳤고, 해가 지나면서

고학년 학생에겐 영어와 영어로

수학을 가르쳤다. 김점동은 특히

영어에 능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대부분 젊은 여성들이 집

의 울타리를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면, 이화학당이 “동해에 갇혀

있던 처녀”에게 “서녘에서부터

오는 새로운 문명의 바람”을 마

시게 하고, “갑갑한 장옷을 벗

어버리고 안방 구석을 떠나던

곳”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

다.

1890년 김점동은 그의 인생의

진로를 바꾸어 버린 한 여자 선

교사를 만나게 된다. 그녀는 로

제타 셔우드(Rosetta Sherwood,

1865-1951, William James Hall

과 결혼해서 R.S. Hall이 됨)라

는 미국 선교의사였다. 셔우드는

미국 펜실베니아 여자의대를 졸

업하고 뉴욕 빈민가에서 의료봉

사활동을 펴다가, 동대문에 있는

보구여관(普救女館)이라는 부인

병원에서 진료와 수술을 담당하

기 위해 1890년 한국에 파견된

여의사였다. 셔우드는 당시 이화

학당을 다니던 학생중 두명을 뽑

아서 자신의 일을 돕게 했는데,

그 중 한명이 김점동이었다. 점

동은 영어가 뛰어나서 셔우드가

즐겨 통역을 부탁했지만, 의술이

나 약에는 관심이 덜했다고 한

다.

셔우드의 회고에 의하면 김점동

이 의학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

지게 된 것은 1893년 초, 셔우드

가 언청이 수술하는 것을 목격하

면서였다고 한다. 이를 보면서,

김점동은 자신도 언젠가 이런 수

술을 할 수 있는 의사가 되겠다

고 결심했다고 적고 있다. 그렇

지만 김점동이 의사가 되기엔 난

관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다. 한

국은 물론 일본이나 중국에도 여

자가 다닐 수 있는 의과대학이

없었던 것이 그중 하나였고, 결

혼의 압력도 또 다른 난관이었

다.

미국의 선교 여의사 홀부인에게

서 큰 영향

당시 조선에선 기생이 아닌, 심

신이 멀쩡한 여자가 나이 열여섯

될 때까지 결혼을 안하는 것은

개인은 물론 집안의 수치로 간주

되었다. 미국인이었던 셔우드 박

사조차 한국에 와서 독신으로 진

료활동을 하면서 주변의 이상한

시선을 의식할 정도였고, 그의

친구들은 그의 약혼자인 홀 박사

(1860-1894, 1894년 평양에 광성

학교를 설립한 사람)가 1891년

미국에서 한국으로 부임하자마자

그녀에게 서둘러 홀과 결혼할 것

을 권고할 정도였다. (그녀는

1892년 6월 홀과 결혼했다).

한국의 이런 풍습을 잘 알고 있

었던 스크랜턴 부인과 셔우드는

박유산이라는 젊은이를 점찍어서

김점동과 그녀의 집에 혼사를 타

진한다. 박유산은 윌리엄 홀 박

사가 서울과 평양을 오가면서 선

교를 할 때 동행하면서 통역을

하고 그를 돕던 건실한 젊은이였

다. 한가지 문제는 그가 돈이 없

고, 조금 미천한 집안 출신이었

다는 것이었다. 김점동의 어머니

는 이런 이유 때문에 결혼을 반

대했고, 갈등을 겪었다.

에스더 김은 1893년 5월 박유산

과 결혼, 서울과 평양에서 본격

적으로 홀 부인의 의료활동을 돕

기 시작했다. 1894년 11월, 발진

티푸스로 갑작스럽게 남편의 죽

음을 맞은 홀 부인이 남편을 기

념하는 병원의 기금을 모으기 위

해 미국에 잠시 돌아가기로 결정

하자, 에스더는 그에게 이 기회

에 자신도 미국에 데려가 달라고

간청한다. 에스더에게 드디어 의

학을 공부할 기회가 왔다고 판단

한 홀 부인은 친구들로부터 에스

더와 박유산의 배삯을 모아서 이

둘을 미국에 데려간다.

1895년 1월, 에스더는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뉴욕에 있

는 고등학교에 편입, 수학, 과학

과 라틴어 등을 배우기 시작했

다. 고등학교를 한학기 다니고

1895년 9월 그는 뉴욕에 있는 간

호학교에 입학했다. 박유산은 미

국에 도착한 이후 줄곧 부인의

학비와 생활비를 벌기위해 상투

를 튼 채 농장에서 노동을 했다

고 한다. 다음해인 1896년 9월,

에스더 박(결혼 후 남편의 성을

따라 이름을 바꾸었다)은 3백명

의 입학생 중 가장 어린 나이로

볼티모어에 있는 여자의과대학

이후 존스홉킨스 의대에 합류)에

입학했다. 에스더는 학기중엔 학

업에 열중하고 방학에는 생계를

위해 돈을 벌었으며, 박유산은

부인과 떨어져서 뉴욕의 농장에

서 힘든 노동을 계속했다.

남편의 지극한 외조로 미국에서

의학공부

1898년 박유산은 볼티모어에 있

는 식당에 취직을 하게 되어 2년

만에 볼티모어에서 부인과 합류

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그때 박

유산은 이미 폐결핵으로 몸이 심

하게 상한 상태였다. 그는 부인

의 간호에도 불구하고 (당시 결

핵에는 특별한 약이 없었다) 에

스더가 의학박사학위를 받는 졸

업식을 3주 남기고 이국 땅에서

숨을 거두었다.

1900년 6월 학위를 받고 바로

한국으로 돌아온 에스더는 24살

의 젊은 나이에 동대문의 구제병

원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그는

첫 열달 동안 환자 3천을 볼 정

도로 정열적인 의료활동을 펴기

시작했다. 그의 개복수술은 “귀

신이 재주를 피운다”는 정도로

명성이 자자했다. 이후 그는 평

양에 있는 홀 부인의 부인병원에

합류해서 진료와 계몽을 계속했

다. 그는 병원에 앉아서 환자를

보는 것 만이 아니라, 평안도와

황해도 시골 구석구석을 돌아다

니면서 무료 진료를 강행했다.

엄동설한에는 나귀가 끄는 썰매

를 타고 다니면서 환자를 찾아다

녔다. 틈틈이 평양의 농아학교와

간호학교에서 강의도 계속했다.

수년간 계속되는 과로로 심하게

건강을 해친 에스더 박은 1909년

잠시나마 건강을 회복하는데 성

공했고, 종전처럼 평양 병원에서

업무를 계속했다. 그 해 그는 하

한사, 윤정온과 함께 수천명의

하객의 축하 속에 고종황제가

‘신여성’을 치하하기 위해 수

여하는 메달을 수상했다.

그러나 이미 그때 그는 남편 박

유산을 앗아간 폐결핵이 회복할

수 없는 단계로 악화된 상태였

다. 주위 사람들의 간곡한 기도

와 지속적인 투병에도 불구하고

그는 1910년 4월 13일, 서울의

병원에서 34살의 짧은 생애를 마

감했다.

1910년 당시 10대 소년이었던

홀 부인의 아들인 셔우드 홀

(Sherwood Hall, 1894-1991)은

어릴적부터 이모처럼 따르던 에

스더가 결핵에 걸려 죽는 것을

보고 결핵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

어 한국에 결핵 요양원을 세우고

결핵 퇴치에 앞장서겠다고 결심

한다.

그는 캐나다로 돌아가 자신의 결

심대

m

cialis coupon cialis coupon cialis coupon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cialis coupon free discount prescription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