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1.jpg
| ||||
장하진 여성부 장관“인사부터 하고 출발”
장하진 여성부 장관이 1월 5일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은 뒤 기자회견을 위해 여성부 브리핑실에 들어오고 있다. | ||||
~a-2.jpg
| ||||
김선욱 법제처장 “첫 출근 긴장되네”
김선욱 법제처장이 1월 5일 오전 정부종합청사 15층에 있는 법제처장 근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하기에 앞서 포즈를 취했다. |
1월 4일 단행된 정부의 부분 개각에 대해 여성계는 장하진 여성부 장관과 최초의 여성 법제처장으로 임명된 김선욱 전 이화여대 교수에 대해 환영 성명을 발표하는 한편, 여성 장·차관급 인사가 전체 30%에 미치지 못하므로 향후 개각에서 이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여성연합)은 4일 장하진 여성부 장관에 대해 “전문성과 행정경험, 비정부기구(NGO)와의 파트너십, 추진력 등을 갖춰 향후 개편될 여성가족부를 잘 이끌 것”이라고 논평했다. 또한 “김선욱 교수를 법제처장에 임명해 장관급 인사에 여성을 발탁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참여정부의 여성 장·차관급 인사가 30%에 미치지 못하므로 향후 개각에서 이를 꼭 지켜주길 바란다”는 당부를 덧붙였다.
여성연합은 “성매매방지법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시행, 호주제 폐지, 여성의 비정규직화 방지 등 당면한 과제를 적극 추진하고 새로운 관점과 틀로 성 인지적 가족정책을 추진해달라”고 요구했다.
장하진 여성부 장관은 충남대 사회학과 교수, 한국여성개발원 원장을 지냈으며, 김선욱 법제처장은 이화여대 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법과 여성 문제를 접목하는 시도를 해왔다.
1·4 부분 개각에 의해 참여정부 내 장관급 여성 인사는 2명으로 늘었다. 현재 여성 차관은 박선숙 환경부 차관이 유일하며 차관급 인사 중에는 김정숙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최영애 국가인권위 상임위원, 정강자 국가인권위 상임위원이 있다.
한편 이번 개각에서 교육부총리에는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 행정자치부 장관에는 오영교 코트라 사장, 해양수산부 장관에는 오거돈 전 부산시장 권한대행, 농림부 장관에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박홍수 의원 등이 임명됐다. 교육부총리로 임명된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에 대해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총장 시절 사외이사 겸직, 부인의 법인카드 사용, 아들의 국적 문제 등 도덕성을 문제삼아 임명 철회를 요구해 진통이 예상된다.
글=임현선 기자 sun5@
사진=이기태 사진기자 leeph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