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우리말 쓰기] ‘웰다잉’ 대신 ‘품위사·존엄사’
[쉬운 우리말 쓰기] ‘웰다잉’ 대신 ‘품위사·존엄사’
  • 이수진 기자
  • 승인 2023.05.26 09:25
  • 수정 2023-05-31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ixabay
ⓒPixabay

100세 시대, 잘 늙고 죽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웰다잉’(well-dying)을 위해 호스피스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호스피스는 의료진이 임종기 환자를 신체적, 심리적으로 돌보며 환자가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도록 돕는 의료 제도를 뜻한다. 이와 함께 안락사(조력자살)도 심심찮게 등장하는 논쟁거리다.

여기서 ‘웰다잉’은 품위 있고 존엄하게 생을 마감하는 일을 뜻하는 외래어다. 더 쉽게 와닿는 우리말 대체어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사)국어문화원연합회가 4월28일~5월4일 국민 2500여 명을 대상으로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2%는 ‘웰다잉’이라는 단어를 ‘우리말로 바꿔야한다’고 답했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가장 적절한 대체어는 ‘품위사’(62.9%)였다. 흔히 쓰이는 ‘존엄사’에 대한 선호도는 47.3%로 나타났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