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문' '월경페스티벌' '안티미스코리아' 등 전방위 활약

문광부 여성문화 태스크 포스팀 구성 연구사업·지원도

~a7-1.jpg

미스코리아대회의 공중파 방송을 중단시키는데 결정적 계기가 된 '안티 미스코리아 페스티벌'.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대표적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여성신문 DB>

여성주의 문화운동은 80년대 중반부터 남녀 불평등에 대한 대안문화운동의 일환으로 가시화됐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20주년을 맞은'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다. 조한혜정(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을 비롯해 장필화(이화여대 여성학), 조형(이화여대 사회학), 조옥라(서강대 사회학) 등이 결성한 또문은 획일적이고 권위적인 문화에 반기를 들고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자는 '공감'의 대안문화운동을 펼쳐나갔다. 또문은 동인지와 단행본을 통해 현실을 바탕으로 한 문화 분석을 시도, 사회적으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여성의 시각과 언어로 시단에서 활약한 시인으로는 고정희, 김혜순, 김승희, 김정란, 노혜경, 장정임을 꼽을 수 있다. 그 중에서 장정임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경남지역을 기반으로 여성주의 문화운동을 해왔다.

여성주의 작가로는 소설가 이경자를 빼놓을 수 없다. 이경자는 여성주의 연작소설'절반의 실패'로 대중화에 성공했다. 이외 공선옥, 공지영 등이 여성주의적 색채가 강한 소설을 써왔다.

여성영화인들의 활약도 80년대 후반부터 두드러진다. 김소영, 유지나, 변재란, 주유신 등이 여성주의 영화평론가로 대표적이며 감독으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영상으로 담은 변영주를 비롯해, 박경희(미소), 박찬옥(질투는 나의 힘), 정재은(고양이를 부탁해) 등이 있다.

또문이 담론 생성을 통해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기반을 다졌다면 90년대 초반부터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여성문화예술기획(이하 여문)은 문화 현장에서 여성주의 문화운동을 이끌어왔다.

92년 평론가, 작가, 배우, 음악인 등 문화예술 전문인들이 모여 만든 여문은 92년 무대에 올려진 연극 '자기만의 방'을 시작으로 97년에는 서울여성영화제를, 99년에는 여성 미술제 '팥쥐들의 행진'을 치러내며 문화·예술계 전반에서 활약하고 있다. 여문의 뒤를 이어 월경 페스티벌을 주최하고 있는 불턱이 여성주의 문화기획단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여성연극인 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연극 평론가 심정순은 페미니즘 이론에 입각한 연극 평론과 저술활동을 통해 한국 연극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계간지 '이프'의 발행인을 역임한 문화예술 기획자 박옥희가 이끄는 이프토피아는 10월 3일 시청 앞 광장에서 열리는 대한민국여성축제를 준비하고 있다.

미술계에서는 민중 운동적 그림을 통해 여성의 현실을 고발한 화가 김인순, 설치미술가 윤석남, 이불 등을 꼽을 수 있다. 2000년에는 젊은 미술가 집단 입김이 가부장 문화에 도전장을 던진 '아방궁 종묘점거 프로젝트'로 유림과 대치, 대법원 소송까지 제기해 승소하며 사회적 이슈를 만들어 냈다.

97년 창간된 여성주의 저널 계간지 '이프'가 99년 개최한 안티 미스코리아 대회는 여성주의 문화운동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미스코리아 대회에 반대해 개최된 안티 미스코리아 대회는 결국 2002년부터 미인대회의 공중파 방송을 중단시켜 여성단체가 오랫동안 해온 미인대회 폐지운동에 방점을 찍은 것.

여성계 행사나 집회에 빠지지 않는 감초 같은 존재 가수 안혜경과 지현도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다양한 멜로디에 날카로운 풍자를 담아 여성들 마음 속으로 파고들었다

학계에서는 여성주의 문화이론가 김영옥, 임옥희, 고정갑희 등이 여성주의, 문화예술인들의 활동에 의미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업을 해왔다.

여성주의 문화운동은 장르 예술운동을 통해 실제적인 성과물도 내놓았다. 문화관광부는 여성문화 태스크 포스팀(팀장 최진)을 꾸려 여성문화 연구사업과 여성관점 문화예술 프로그램 지원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