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금지법 발의 3년, 혐오차별 더 심화…“해결책은 21대 내 법안 통과”
차별금지법 발의 3년, 혐오차별 더 심화…“해결책은 21대 내 법안 통과”
  • 진혜민 기자
  • 승인 2023.05.03 20:17
  • 수정 2023-05-03 2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 발의 3년 - 대한민국 혐오차별 현실 진단 대토론회’가 열렸다.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 발의 3년 - 대한민국 혐오차별 현실 진단 대토론회’가 열렸다.

차별금지법·평등법이 발의된 지 3년이 됐지만 법안이 국회에 계류돼 있는 동안 사회 각계에서 혐오차별의 문제가 생겨났다.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 발의 3년 - 대한민국 혐오차별 현실 진단 대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권인숙·박주민·이수진(비례) 더불어민주당 의원, 장혜영 정의당 의원,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 등이 참석했다.

박주민 의원은 “차별금지법 논의가 잘 되지 않는 것에 대해 죄송하다”며 “여러 과정에 거쳐서 동료 의원을 설득했지만 많이 부족했다. 앞으로 1년 남았으니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인숙 의원도 “차별금지법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며 “국회의원들의 책임이 커 마음이 무겁다”고 얘기했다.

장혜영 의원은 “21대 국회 시작 한 달 만에 차별금지법을 발의한 이유는 20대 국회에는 발의조차 안 된 차별금지법의 불씨를 21대에서는 되살리고 실질적인 발의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법안 제정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다”며 “임기가 1년 남은 지금 정치가 차별금지법을 외면하는 동안 사회가 얼마나 퇴보했는지 진단하고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에 있어 마음이 복잡하다”고 말했다.

성별과 장애, 나이, 인종, 성적 지향 등 차별을 해서는 안 되는 사유를 명문화한 차별금지법안은 2020년 6월 29일 장혜영 의원의 대표발의로 21대 국회에서 발의됐다. 2021년 6월과 8월에는 이상민, 박주민 의원이 각각 ‘평등에 관한 법률안’과 권인숙 의원이 ‘평등 및 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21대 국회에서 총 4건이 계류돼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 발의 3년 - 대한민국 혐오차별 현실 진단 대토론회’가 열렸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박주민의원실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지하1층 대강당에서 ‘차별금지법·평등법 발의 3년 - 대한민국 혐오차별 현실 진단 대토론회’가 열렸다.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박주민의원실

시민단체에선 차별금지법이 계류돼 있는 동안 각계에서 나타난 혐오차별 문제를 지적했다.

배진경 한국여성노동자회 대표는 지난 3월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이 이주 가사노동자를 월 100만원에 고용할 수 있게 한 법안을 차별 근거로 들었다. 배 대표는 “가사노동이 여성의 노동이라는 점도 노동의 가치를매길 때 평가절하당하는 이유 중 하나”라며 “지금도 이주가사노동자들은 내국인 가사노동자보다 더 긴 시간을 일하지만 더 낮은 임금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정성조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집행위원은 경체활동에서 겪는 차별의 경험에 대해 설명했다. 정 집행위원은 “성소수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거나 성소수자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 경우 취업의 관문에서 채용 거부 및 입사 취소의 결과를 마주하고 직장 내에서도 언어적 폭력과 업무상 부당한 대우 등을 경험하게 된다”며 “특히 트랜스젠더의 경우 이러한 차별 경험의 강도가 더욱 심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은 2007년 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애인의 차별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모든 것은 예산과 연결돼 있다”며 “비장애인 중심적 사회에서 장애인은 쓸모없는 존재이고 비장애인보다 예산이 더 필요하다는 논리”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대한민국 정부가 독일의 나치 T4 작전으로 장애인을 학살하고 있다”며 “더 이상 T4 작전으 중단하고 장애인을 배제하고 차별하지 말고 권리예산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