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주암댐 등 200일 넘게 가뭄...8개 댐 가뭄 관리
전남 주암댐 등 200일 넘게 가뭄...8개 댐 가뭄 관리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3.02.06 07:23
  • 수정 2023-02-06 0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전남지역 상수원이자 여수국가산단 공업용수원인 주암댐의 수위가 크게 낮아져 취수탑 기둥이 드러나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광주·전남지역 상수원이자 여수국가산단 공업용수원인 주암댐의 수위가 크게 낮아져 취수탑 기둥이 드러나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가뭄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영산강·섬진강권역에 지난 한 해 동안 내린 비가 예년의 68%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다목적댐 유역에 내린 비는 예년의 91% 수준이다.

환경부는 6일 소관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 중 현재 8곳의 댐을 가뭄단계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다목적댐 20곳 유역에 내린 연강수량(평균)은 예년의 91% 수준인 1141㎜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이 예년의 118%(1433㎜)로 높았지만, 금강권역은 80%(997㎜), 낙동강권역과 영산강·섬진강권역은 각각 70%(889㎜)와 68%(954㎜)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12월31일 기준 전국 다목적댐 20곳의 저수량(합계)은 예년의 99% 수준인 67억1천톤이었다. 

한강권역은 예년의 121%(36억6천톤)로 높았지만 금강권역은 94%(13억2천톤), 낙동강권역은 82%(13억5천톤)로 낮았다. 영산강·섬진강권역은 예년의 57%(3억8천톤) 수준에 불과했다.

현재 영산강·섬진강권역 다목적댐 4곳(섬진강·주암·부안·장흥)과 용수댐 2곳(수어·평림) 중 주암·수어·섬진강·평림 등 4곳의 댐이 가뭄 '심각' 단계다. 지난달 31일 기준 주암댐과 수어댐은 219일째, 평림댐은 227일째, 섬진강댐은 82일째 가뭄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협의해 지난해 7월부터 보성강댐 발전용 물 약 2000만t을 주암댐 방향으로 돌려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활용했다. 지난달부터는 한강권역의 소양강댐의 발전량을 늘려 대체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낙동강권역 댐 4곳도 가뭄 단계로 관리하고 있다. 합천댐은 ‘주의’, 안동댐, 임하댐, 영천댐은 ‘관심’ 단계다. 환경부는 가뭄 상황에 따라 다목적댐은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로, 용수댐은 관심, 주의, 심각 등 3단계로 나눠 댐 용수를 감량하는 등 대응한다.

환경부는 상반기 운문댐과 보령댐 등이 추가로 가뭄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