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인도적체류자' 지위·처우 난민법에 명시해야”
인권위 “'인도적체류자' 지위·처우 난민법에 명시해야”
  • 김민주 기자
  • 승인 2023.02.03 09:24
  • 수정 2023-02-03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권위는 4일 어린이날 100회를 맞아 인권위원장 이름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홍수형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가 2일 인도적 체류자의 지위와 처우개선 이행을 촉구했다. ⓒ홍수형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가 2일 인도적 체류자의 지위와 처우개선 이행을 촉구했다.

인권위는 2021년 7월 15일 법무부 장관에게, 국내 체류 중인 인도적 체류자의 인권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한 바 있다. △인도적 체류자에 대한 지위와 처우가 국제규범의 보충적 보호 취지에 부합하도록 「난민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을 추진할 것 △관련 법령의 개정 전이라도, 인도적 체류자의 안정적 체류 기간 확보와 취업 허가 요건 완화 및 절차 간소화 등 인도적 체류자의 처우가 개선 될 수 있도록 관련 지침 등을 개정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대해 법무부 장관은 2022년 11월 11일과 2023년 1월 10일 다음과 같이 회신했다. 인도적 체류자의 체류자격 연장 시 부여하는 기간이 제각각이었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명백한 사유가 있지 않은 이상 체류 기간 상한인 1년을 허가하고, △1년 미만의 체류 기간을 부여하는 경우 민원인에게 사유를 설명하도록 하며, △인도적 체류자의 체류 및 취업 방법 등을 설명한 안내문을 개정·배포하였다고 했다. 또한, 상한 2년의 취업이 가능한 체류자격을 신설하여 인도적체류자에게 부여하는 방안을 확정하였으며, 이 밖의 사항은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회신했다.

인권위 상임위원회는 법무부 회신에 대해, 그간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인도적 체류자의 안정적인 체류와 처우 개선을 위해 별도의 체류자격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이 계획이 신속히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봤다. 다만, 인도적 체류자의 지위와 처우가 국제규범의 보충적 보호 취지에 부합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난민법」 개정 등에 관한 계획이 없다는 사실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인권위는 “우리 정부가 보호 필요성을 인정하여 체류를 허가한 만큼, 인도적 체류자에게 국제규범에 부합하는 지위와 처우를 보장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 등의 개정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바란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