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편견 부르는 ‘치매’ 용어 개정한다
부정적 편견 부르는 ‘치매’ 용어 개정한다
  • 이세아 기자
  • 승인 2023.01.16 14:54
  • 수정 2023-01-16 1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치매 용어 개정 협의체’ 구성·16일 첫 회의
‘어리석다’ 어원에 국민 43.8% “거부감 들어”
대만은 실지증·일본은 인지증
홍콩·중국은 뇌퇴화증 등으로 바꿔
ⓒShutterstock
ⓒShutterstock

보건복지부가 ‘치매’ 용어를 바꾸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치매’의 부정적 의미가 환자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유발하고, 환자와 가족들이 불필요한 모멸감을 겪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조처다.

복지부는 16일 오전 10시 서울시 중구 모처에서 ‘치매 용어 개정 협의체’ 제1차 회의를 열었다. 정부, 의료, 돌봄·복지 전문가, 치매 환자 가족단체 등 10여 명이 참석해 치매 용어 관련 해외 사례와 타 병명 개정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추진방안 등을 논의했다.

‘치매’는 ‘dementia(정신이상)’라는 라틴어 의학용어의 어원을 반영해 ‘癡呆(어리석다는 뜻)’라는 한자로 옮긴 말이다. 일본에서 전해 받고 해당 한자어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 사용하게 되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치매 용어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21년 복지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치매 환자 가족 319명을 포함해 만 19세 이상 일반 국민 1200명에게 물은 결과, 43.8%가 ‘치매’ 용어에 거부감이 든다고 답했다.

아시아 각국도 국민 의견을 받아들여 치매 용어를 개정하고 있다. 대만은 2001년 실지증(失智症), 일본은 2004년 인지증(認知症), 홍콩과 중국은 2010년 및 2012년 뇌퇴화증(腦退化症)으로 병명을 개정한 바 있다. 미국은 2013년 정신질환 분류기준인 DSM-5에서 치매(Dementia)를 주요신경인지장애(major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s)로 변경했다.

앞서 우리 의료계 주도로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 오해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자 ‘정신분열병’을 ‘조현병’으로, ‘간질’을 ‘뇌전증’으로 변경한 바 있다.

김혜영 복지부 노인건강과장은 “치매 대체 용어에 대한 의료계 등 각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개정을 추진하겠다”라며 “치매 용어 개정이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과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 조성의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