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 순이익 128% 증가… 역대 최대
지난해 기업 순이익 128% 증가… 역대 최대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2.12.15 14:10
  • 수정 2022-12-15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21년 기업활동조사 결과
순이익 222조원, 128%↑
매출 2760조원, 17% 늘어...역대 최대
ⓒ통계청
ⓒ통계청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매출과 순이익이 역대 가장 많이 늘었다. 수출 호황에 제조업이 호조를 보이고 숙박·음식점업과 예술스포츠업이 흑자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1년 기업활동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가 50인 이상이면서 자본금이 3억원 이상인 국내 기업의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금융보험업 제외)은 222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2020년 97조7000억원보다 127.6% 늘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금융보험업 제외)은 2760조원으로 16.9% 증가했다. 역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이다. 매출액 1000원당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80.6원으로 39.2원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순이익이 전체의 절반 이상인 143조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82조1000억원(133.4%) 늘었다. 지난해 수출액이 25.7% 증가한 6444억달러로 역대 최대를 달성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적자를 보였던 예술스포츠업의 순이익은 지난해 1조1120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숙박 및 음식점업도 670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매출액 1000원당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2.2원으로 수익성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13.6원)에 미치지 못했다. 

전기가스업 순이익은 1조7440억원으로 47.8% 감소했다. 매출액 1000원당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도 59.4원에서 26.7원으로 감소했다. 유가·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의 종사자 수는 491만6000명으로 전년(471만3000명)보다 4.3% 증가했다. 이중 상용근로자가 430만6000명이었다.

국내외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은 전년(5823개)보다 3.1% 증가한 6006개였다. 조사 대상 전체 기업(1만3448개)의 44.7%에 해당한다. 국내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이 4602개, 국외 자회사 보유 기업이 3329개로 각각 3.9%, 0.5% 증가했다.

국내 자회사가 진출한 지역은 중국 2495개(26.0%), 미국 1376개(14.4%), 베트남 1138개(11.9%) 순으로 많았다. 2020년과 비교하면 중국은 67개 감소한 반면 미국(60개), 독일(11개) 등은 늘었다. 중국에 진출한 자회사 수는 2018년부터 감소세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및 미·중 무역 마찰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비(금융보험업 제외)는 66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2% 증가했다. 최근 16년간 지속해서 연구개발에 투자한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6579억원으로 조사 대상 전체 기업당 매출액(2110억원)의 3.1배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