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도 청년 여성이 일을 합니다]
3. 지방 청년 여성 페미니즘 활동가·문화기획자 2인 인터뷰
일반 시민 관심도 떨어져… 단체·대학 동아리 중심
“페미니스트 문화 기획 통해 접근성 높여야”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고 있다. 인구 감소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지역 상황을 일컫는 이른바 ‘지방소멸’은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그 중심에 여성 청년이 있다. 20~39세 여성 인구 수는 ‘소멸위험지역’을 가르는 잣대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20~39세 여성의 수보다 배 이상 많아서 사라질 수 있는 소멸위험지역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113곳(49.6%)에 달한다(한국고용정보원). 2015년보다 33곳, 2020년보다는 11곳 늘었다. 

성평등은 지방소멸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로 꼽힌다. 그러나 페미니즘은 한국 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된지 오래다. 극단적이고 급진적이라는 평가 아래 강력한 백래시가 페미니즘을 공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페미니즘을 일로 삼은 이들이 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대부분 성차별을 ‘나의 이야기’로 겪거나 느끼면서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별이 전주여성의전화 사무국장(29)은 우연히 2016년 ‘성평등 상담원 양성 교육’ 현수막을 보고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그 현수막을 보며 저 문제가 나랑 무관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당시 강남역 사건으로 페미니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졌던 것도 한 몫했다. 강원도 원주에서 문화 기획자로 일하고 있는 신동화(35) 씨는 장녀로 자라며 한국의 성차별 문화를 깨달았다고 밝혔다. 이후 딸을 낳고 결혼과 육아를 하며 산후 우울증을 오래 앓았고, 성별 불균형을 겪으며 페미니즘 관련 시각을 가지게 됐다.

여성폭력피해자지원현장단체 공동행동 집회에 참여한 별이 전주여성의전화 사무국장. ⓒ본인 제공
여성폭력피해자지원현장단체 공동행동 집회에 참여한 별이 전주여성의전화 사무국장. ⓒ본인 제공

이들은 다양한 페미니즘 활동을 하고 있었다. 별이 사무국장이 속한 전주여성의전화는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사업, 상담사업, 인식개선 사업, 소모임 활동 등을 진행 중이다. 신동화 씨는 현재 원주 지역의 성매매 집결지 학성동 아카이브 사업을 하고 있다. 11월 16일, 23일, 25일 ‘우리가 말하지 않는 것’이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내년에는 지역의 성평등 담론을 논의해보는 사업을 할 예정이다.

‘우리가 말하지 않는 것’ 주제로 열린 원주 학성동 성매매집결지 관련 포럼. ⓒ신동화
‘우리가 말하지 않는 것’ 주제로 열린 원주 학성동 성매매집결지 관련 포럼. ⓒ신동화

인터뷰 참여자들은 지방에서 페미니스트들이 소수정예로 뭉쳐있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별이 사무국장은 “전주 지역에서 여성 단체의 활동은 활발하고 페미니즘 소모임이 대학을 중심으로 조성돼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일반 시민들의 관심도는 떨어지며, 단체가 아닌 페미니스트 개인들끼리 연결되는 느낌은 적다고 밝혔다.

페미니즘을 지방에서 논의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신동화 씨는 ‘프레임’이 만들어지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페미니즘’을 언급하는 것이 어렵다”며 “여성주의나 성평등으로 말을 바꿔야 한다. ‘페미니즘’은 급진적인 이미지가 있다”고 밝혔다. 별이 사무국장은 페미니스트, 특히 20대 페미니스트를 찾기 어려운 현실을 토로했다. 그는 “20대 여성들이 특히 고립돼 있고 각자도생하는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데, 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싶다”고 말했다.

지방의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이 보다 더 활발히 논의되기 위해서는 만남의 장이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별이 사무국장은 “단체와 페미니스트 개인들이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가벼운 방식으로 페미니즘을 접할 수 있도록 페미니즘 문화 기획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화 씨는 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페미니즘 문제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은 보수적이니 현실에 순응해야 한다는 한계를 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