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YWCA연합회·한국여성단체연합·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의전화·BPW한국연맹·한국여성소비자연합
“반대입장 전달했으나 장밋빛 미래 있는 것처럼 호도”

여성가족부 폐지를 반대하는 여성단체 6곳은 20일 오후 김현숙 여가부 장관과 만나 부처 폐지 반대 입장을 거듭 표명했다.
한국YWCA연합회·한국여성단체연합·한국여성민우회·한국여성의전화·BPW한국연맹·한국여성소비자연합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김 장관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들 단체는 간담회 참석 후 기자회견을 열고 “간담회는 그동안 언론을 통해 보도된 내용과 다르지 않은 의례적인 수준의 설명뿐이었다”면서 “여가부의 조직 전망을 바꿀 수 있는 자리가 아닌 국회의 시간으로 이미 넘어갔다는 것을 확인한 순간이었다”고 밝혔다.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대표는 “여가부 기능이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 등으로 이관될 시 각 부처를 통합적으로 조직하는 성평등 전담부처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하며 반대입장을 전달했다”며 “그러나 김 장관은 ‘모두 잘될 것’이라는 낙관론만 반복했다”고 설명했다.
김민문정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도 “지금 정부조직 개편안이 굉장히 장밋빛 미래가 있는 것처럼 호도하는데 현장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는 안임에도 불구하고 장담할 수 없는 얘기를 했다”며 “국회의 시간에서 이 퇴행을 막기 위해 열심히 활동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0일 김 장관의 주재로 열린 ‘정부조직법 관련 여성계 의견수렴 간담회’에 ‘여가부 폐지에 반발해온 단체들은 초청받지 못했다’는 편파 간담회 논란이 일어난 이후 마련된 자리였다. 단체장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여가부 폐지에 반대하는 단체를 빼놓고 진행된 지난 10일 간담회는 문제적이었다’는 지적에도 “그렇지 않다”고만 해명했다.
이들 단체들은 전국적 공동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단체장들은 “국회의 시간으로 넘어간 상황인 만큼 여성계는 전국행동 차원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회를 직접 압박할 것”이라며 “성평등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하는 다양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기회를 마련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여가부는 이날 참석한 여성단체가 언급한 “(이번) 간담회는 1시간 반짜리 일방적 설명자리”, “편파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면피성 공간”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여가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정부조직개편 사항은 전략추진단이 회의 시작 직후 5분 이내로 설명을 마쳤고, 대다수의 시간은 참석자의 발언과 질의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진행됐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또 "지난 6일 정부 조직개편안 발표 이튿날 한국여성단체연합 측에 유선으로 면담을 요청했다"며 "일정을 구체화하지 못했을 뿐이라고 이번 간담회가 지난 10일 여성계 간담회의 편파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진행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