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분석
“전문가 컨설팅 등 촘촘한 ESG 종합 지원체계 구축해야”

ESG 부문별 중위값 ⓒ홍정민의원실
ESG 부문별 중위값 ⓒ홍정민의원실

국내 중소기업의 ESG 경영 수준이 하위권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나 역량 강화를 위해 종합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홍정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고양병)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만 4000여 곳의 중소기업이 자사의 ESG 경영 수준을 스스로 진단한 결과, 절반 이상의 기업이 E(환경)·G(지배구조) 부문에 있어 미흡 등급인 4~5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기부 산하기관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올해부터 제공하는 <중소기업 ESG 자가진단 시스템> 진단에 따른 것이다. 해당 시스템은 기업들이 ESG 각 부문별 설문에 응답하면, 우수등급인 1등급에서 미흡등급인 5등급 사이의 점수를 받는 방식이다. 8월 말 기준 1만 4,228곳의 업체가 자가 진단에 참여했다. ESG 등급을 수치화한 통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자가 진단에 참여한 업체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이 1만 76곳으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1490곳, 서비스업 1370곳, 정보처리업 1088곳, 건설업 139곳, 물류업 65곳 순이었다.

홍정민의원실이 이들 기업의 ESG 각 부문에 대한 중윗값을 분석한 결과, 환경·지배구조 부문의 중윗값은 4등급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사회 부문의 중윗값은 2등급을 기록했다.

환경 부문의 경우, 전체 1만 4228곳 중 65.5%에 해당하는 9324곳이 미흡 수준인 4~5등급에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 부문 역시 절반이 넘는 56.6%(8052곳)가 4~5등급을 차지했다.

ESG 등급별 업체수  ⓒ홍정민의원실
ESG 등급별 업체 수 ⓒ홍정민의원실

ESG 수준이 낮은 기업은 환경 부문의 경우 경영방침이나 사업보고서에 환경경영 목표와 계획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고, 사회 부문의 경우 기업이 정규직 채용인원, 평균 근속연수, 복리후생비 등을 관리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였다. 지배구조의 경우는 경영방침에 윤리경영 정책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처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ESG 수준은 여전히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지원책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일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홍 의원은 “실제 많은 대기업 협력업체들이 거래처로부터 ESG 평가 인증을 요구받는다”며 “ESG 경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홍 의원은 “자가진단으로 수준을 파악한 업체들은 결과를 받아보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중기부가 구색만 갖춰놓고 손 떼고 있을 것이 아니라 전문가 컨설팅 등 촘촘한 ESG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의원의 질의에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적사항에 동감한다”며 “내년에는 구체적인 지원을 해보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