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까지 금융회사 횡령액 약 791억원
31.7%인 127억 800만원만 환수

최근 5년여 간 금융회사 임직원의 자금 횡령 규모가 1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수율은 32%에 불과했다. ⓒ뉴시스·여성신문
최근 5년여 간 금융회사 임직원의 자금 횡령 규모가 1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수율은 32%에 불과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이 없음.  ⓒ뉴시스·여성신문

최근 5년여 간 금융회사 임직원의 자금 횡령 규모가 1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수율은 32%에 불과했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은행‧저축은행‧보험‧카드‧증권 등 금융사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은 181명,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총 1192억 3900만원이었다.

연도별 횡령액은 2017년 89억8900만원(45명), 2018년 56억6800만원(37명), 2019년 82억8400만원(28명), 2020년 20억8300만원(31명), 2021년 151억2400만원(20명)이었고, 2022년은 8월까지 790억9100만원(20명)에 달했다.

업권별로 횡령을 저지른 임직원은 은행이 97명(53.6%)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 58명(32%), 증권 15명(8.3%), 저축은행 8명(4.4%), 카드 3명(1.7%) 순이었다.

횡령액 규모는 은행이 907억4010만원(76.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149억7140만원), 증권(86억9600만원), 보험(45억7500만원), 카드(2억5600만원) 순이었다.

은행 중 횡령 임직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하나은행(18명)이었다. 보험은 동양생명(8명), 저축은행은 참저축은행(2명), 증권사는 NH투자증권(4명)이 가장 많았다.

횡령 규모로 보면 우리은행이 716억5710만원으로 가장 컸다. 보험은 KB손해보험(12억300만원), 카드는 우리카드(2억5100만원), 저축은행은 KB저축은행(77억8320만원), 증권은 NH투자증권(40억1200만원)이 가장 많았다.

금감원은 최근 횡령 사건이 대출 서료 위조, 계약자 정보의 무단 도용 및 변경, 외부 수탁업체에 대한 관리 소홀로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처럼 금융권 임직원 횡령이 이어지고 있지만 환수실적은 저조했다. 2017~2021년까지 총 401억 4800만원 중 127억 800만원만 환수돼 31.7%에 그쳤으며 특히 저축은행의 환수액은 9.6%에 불과했다.

강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금융 권역별로 연 1~2회 실시하고 있는 감사·준법 감시 담당 임직원 대상 내부통제 워크숍을 분기별로 늘리고, 최근 우리은행 횡령 사건 현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