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다듬기⑳] ‘뉴 스페이스’ 대신 ‘민간 우주 개발’
[우리말 다듬기⑳] ‘뉴 스페이스’ 대신 ‘민간 우주 개발’
  • 권묘정 기자
  • 승인 2022.09.16 16:04
  • 수정 2022-10-17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어단어 ‘뉴(new)’와 ‘스페이스(space)’의 합성어
문체부, ‘뉴 스페이스’ 대체어로 ‘민간 우주 개발’ 제시
‘뉴 스페이스’ 대신 ‘민간 우주 개발’이라는 단어를 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지난 8월 ‘뉴 스페이스’의 대체어로 ‘민간 우주 개발’을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 스페이스’ 대신 ‘민간 우주 개발’이라는 단어를 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지난 8월 ‘뉴 스페이스’의 대체어로 ‘민간 우주 개발’을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지난 6월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발사시킨 데 이어, 8월 초 국내 첫 달 탐사선 ‘다누리’까지 성공을 거두면서 우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많은 민간 기업에서도 우주탐사 개발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많은 언론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가리켜 “‘뉴 스페이스’시대”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뉴 스페이스’는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 개발을 이르는 말로 정부가 주도하는 우주 개발인 ‘올드 스페이스(old space)’와 대비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새로운’을 뜻하는 ‘뉴(new)’라는 단어와 ‘우주’를 뜻하는 ‘스페이스(space)’라는 영어단어가 합쳐 만들어진 신조어다.

하지만 해당 단어는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더불어 외국어에서 기인한 단어이기 때문에 해당 단어를 사용할 경우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뉴 스페이스’ 대신 ‘민간 우주 개발’이라는 단어를 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지난 8월 ‘뉴 스페이스’의 대체어로 ‘민간 우주 개발’을 선정했다. 이에 대해 8월 19일부터 25일까지 국민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2.9%가 ‘뉴 스페이스’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으며, ‘뉴 스페이스’를 ‘민간 우주 개발’로 바꾸는 데 응답자의 90.9%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