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돈 부담이 적어서”가 가장 많은 응답 차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이 없음. ⓒ홍효식 / 여성신문 사진기자 yesphoto@womennews.co.kr
금리인상과 전세 보증금 사기 피해 증가 등의 영향으로 월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13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주거 형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1306명 중 57.0%가 ‘전세’ 거래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월세 거래라고 답한 비율은 43.0%였다.
이는 2년 만에 월세 선호 비중이 2배 이상 확대된 결과다. 2020년 10월 조사 당시에는 응답자의 78.7%가 전세, 21.3%가 월세 거래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임차인 중 월세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올해 42.6%로 2020년 조사 당시 17.9%보다 크게 증가했다. 임대인 중 월세를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46.5%였다.
월세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목돈 부담이 적어서(40.4%)’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이어 △사기, 전세금 반환 등 목돈 떼일 부담이 적어서 (20.7%),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서(13.5%), △단기 계약할 수 있어서(11.2%)가 그 뒤를 이었다.
전세를 선호하는 임차인(57.4%)들은 ‘매월 부담해야 하는 고정지출이 없어서’(52.8%)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월세보다 전세 대출 이자 부담이 적어서(22.0%),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한 발판이 돼서(10.1%)라고 답한 이들도 있었다.
직방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조 속에서 월세 선호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임대차 시장 변화 속에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상호 간의 신용 확인을 통해 안전한 임대차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