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 부진한 가운데 아파트 낙찰가율이 3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지지옥션이 8일 공개한 ‘8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보면 전국 아파트 경매 1469건 중 610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41.5%로 7월(43.3%)보다 1.8%p 하락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도 7월(90.6%)보다 4.7%p 하락한 85.9%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9월(84.8%)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라고 지지옥션은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36.5%로 전월(26.6%)보다 9.9%p 상승했다. 반면 낙찰가율은 전달(96.6%) 대비 2.9%p 하락한 93.7%를 기록해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3.0명)보다 2.9명이 많은 5.9명으로 집계됐다.
지지옥션은 “한 차례 이상 유찰된 아파트 중 일부에서는 경쟁률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지만, 매매시장 위축과 금리인상으로 인한 이자부담 탓에 낙찰가율은 하락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은 44.0%로 전월(45.6%)보다 1.6%p 떨어졌고, 낙찰가율 82.9%로 전달(92.6%)보다 9.7%p 낮아졌다. 경기 아파트 낙찰가율은 2014년 1월(82.2%) 이후 8년여 만에 가장 낮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전월(31.3%)보다 0.8%p 하락한 30.5%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78.0%로 전월(89.1%) 대비 11.1%p 떨어지면서 올해 처음으로 70%대에 진입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유일하게 울산 아파트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88.1%로 전월(86.5%) 대비 1.6%p 올랐다.
부산 아파트 낙찰가율은 83.5%로 전월(91.4%) 대비 7.9%p 하락했다. 대구(80.3%)가 전월 보다 1.2%p 떨어졌고, 광주(91.9%)와 대전(76.1%)은 각각 0.6%p, 0.1%p 하락했다.
전북(79.7%)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99.1%)보다 19.4%p 떨어져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