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시설 자하화... 지역에 1000억원 규모 편익시설 지원

도심 광역자원회수시설 개념도 ⓒ서울시 제공
도심 광역자원회수시설 개념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생활폐기물 소각장 후보지를 오는 9월까지 선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17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신규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을 건립 청사진을 발표했다.

시는 현재 운영 중인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양천·노원·강남·마포)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입지선정위원회가 9월 최종 후보지를 발표한다.

현재 서울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서는 하루 약 2천200t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지만 소각 용량이 부족해 하루 1천t의 폐기물이 소각되지 못한 채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2026년 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고 직접 매립하는 것이 금지됨에 따라 추가 소각장 건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에는 국제 현상 설계 공모를 거쳐 세련된 건축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업무·문화 시설과 공원 등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고,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에는 전망대·회전 레스토랑·놀이기구 등을 만들어 관광지로 활용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소각시설에는 첨단 기술이 집약된 오염방지설비와 자동화시스템을 적용해 대기오염물질·악취·소음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해 기존 자원회수시설은 물론 유럽 및 일본의 시설보다도 엄격하게 관리할 방침이다.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개설할 계획이다.

소각시설이 들어서는 지역에는 1천억원을 투자해 도서관·실내체육시설 등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하고,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와 난방비 등 주민 복리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를 공모했으나 신청지가 없었다. 이후 2020년 12월 주민대표, 전문가, 시의원 등으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하루 1천t 규모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을 추진해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