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
국내 총인구 5173만8000명…0.2% 감소
고령인구 비율 16.8%...유소년 인구 16만7000명 줄어
수도권 인구 50.4%...4개 권역 중 유일한 증가 

26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홍수형 기자
 ⓒ홍수형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 부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11월 1일 기준)는 517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1천명(-0.2%) 감소했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하면서 1995년부터는 1% 미만으로 떨어졌고,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 인구가 5008만8천명으로 4만5천명(-0.1%) 줄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남성 인구는 2585만명, 여성 인구는 2588만8천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여성 100명당 남자의 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지난해 99.9로 집계됐는데, 특히 20대 성비(111.8)가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 3694만4천명으로 34만4천명(-0.9%) 줄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6년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67만7천명 감소했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608만7천명으로 1년 새 16만7천명(-2.7%) 줄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870만7천명으로 1년 만에 41만9천명(5.1%) 증가했다.

총인구 가운데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6년 13.3%에서 지난해 16.8%로 5년 만에 3.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고령층 가운데서도 85세 이상 초고령층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내국인 고령층 862만명 가운데 85세 이상 초고령층은 10.1%로 처음으로 10%를 넘었다.

인구를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4.5세로 전년의 43.9세보다 0.6세 올라갔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상승했다. 생산연령인구 4.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43.0으로 10.5 높아졌다. 1년 단위 조사가 시작된 2016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전년보다 0.1% 늘면서 4개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19년에 처음으로 50% 선을 넘어선 뒤 계속 올라 지난해에도 50.4%가 수도권에 거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중부권·호남권·영남권 등 나머지 권역은 전부 인구가 감소했다.

17개 시도 가운데는 울산(-1.3%)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세종(3.5%) 인구가 가장 크게 늘었다.

시군구별로는 229개 시군구 가운데 170곳의 인구가 줄고 58곳만 인구가 늘었다.

작년 대비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시군구는 전북 순창군(-4.2%)이었다.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과천시(13.6%)였다.

권역별 노령화지수는 호남권(165.5)이 가장 높았고, 수도권(126.6)이 가장 낮았다. 노령화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880.1)으로, 경기 화성시(51.2)의 17배에 달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