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화두

비혼, 저출산율, 이혼율, 동거커플, 1인 가구 증가

혈연과 의무적 관계를 내세운 가족규범에 균열이 가해지고 있다. 출산율 저하와 이혼율 증가가 극명한 예다. 5년 전과 비교해 34.5% 늘어난 1인 가구도 관심을 끈다. 결혼은 '선택'이며 1인 가구도 하나의 가족형태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흔히 결손가정 혹은 소년소녀 가장 가족으로 간주되던 조모 세대(노인들이 손자를 데리고 사는 가족)도 하나의 가족으로 보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가족은 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족의 중요한 변화로 가족구조의 다양성, 결혼연령의 상승, 결혼율의 감소, 재혼율의 증가, 사실혼 커플의 증가, 동성애 커플, 국제결혼의 증가, 입양, 인공수정 등을 실례로 든다. 케이트 밀레트가 말한 “가부장제의 핵심인 가족”이 변화하며 다양한 개인들이 실험하는 가족이 가부장제에 균열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과제는 남는다. 혈연중심의 가족이 해체된 뒤에도 관계맺음과 친밀성에 대한 욕구가 존재하기 때문.

일각에선 '가족해체'를 논하기 보다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를 질문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라고 말한다. 실제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로 가족의 개념을 확대할 때 독신가족, 동성애 커플 가족, 비혈연중심의 공동체, 무자녀가족 등 기존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던 가족이 다양한 구성원 중심의 가족공동체로 이해 될 수 있다.

한편 가족이란 신성하며 공적 영역에서 분리된 사적 영역이라는 생각이 가족 안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 여성의 노동, 빈곤의 문제를 간과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여성학자들에 의해 제기돼 왔다. 이화여대 여성학과 이재경 교수는 “가족은 성원들간의 법적, 경제적, 성적 권리, 의무, 역할 등이 명확하게 주어지는 제도적 측면과 사랑, 배려, 신뢰, 연대성 등을 토대로 한 친밀한 관계의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면서 사회 정의(justice)가 가족 안에서도 통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여성의 인권이 가족 전체의 행복을 위해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 또한 높다.

가족이 변하고 있는만큼 그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도 요구된다. 빈곤계층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가장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그것이다. 일례로 한국여성민우회는 한부모가족운동을 전개해 온 가족과 성상담소를 중심으로 오는 5월 한부모가족 지원 단체 네트워크 발대식을 가질 예정이다. 유경희 간사는 “자녀양육, 교육문제, 심리문제 등을 포함해 한부모가족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내용을 간담회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으로 추진해 볼 생각”이라며 “다양한 가족 구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임인숙 기자isim123@

cialis coupon free prescriptions coupons cialis trial coupon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