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플레이 그룹을 벤치마킹하자

@B-2.jpg

도움말·권영임

미국 시카고대 부설 메사심리연구소 아시아센터 연구소장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육학 박사 ▶

지역공동체 교육의 대표적 사례는 플레이 그룹(Play Group)이다. 2차 세계대전 후 황폐화된 영국에서 1960년대 초반부터 자생적으로 발생해 97년 노동당 정권이 들어서면서 유아교육이 공교육화되기 직전까지 절정을 이루었다.

플레이 그룹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절감한 지역사회 여성들을 중심으로 교회, 학교 등 지역 공공시설을 탄력적으로 활용하자는 발상에서 비롯됐다. 렌트비 면제에다가 교육비도 타 기관의 3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고 지역 여성들의 편의를 고려해 요일이나 시간대가 유연하게 운영되는 이점이 있다.

~B-3.jpg

◀영국 등 교육선진국들에선 이미 유아기 때부터 아이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시한 '열린' 교육프로그램으로 교육 경쟁력을 키워 나가고 있다.

<자료제공·JEI재능교육>

교육 프로그램은 상근하는 교사 1인을 중심으로 지역 여성들이 순번제로 일일 교사를 하며 운영하는데, 교사와 아동 비율은 대략 8대 1 정도다. 이처럼 프로와 아마추어가 연합한 지역 맞춤식 교육이라 할 수 있는 플레이 그룹은 ▲교사는 아이의 놀이 행위에 간섭을 자제한다 ▲엄마가 교사 역할을 할 경우 내 아이와 남의 아이를 차별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등 자체 메뉴얼에 따른 룰이 엄격하다.

권영임 박사(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육학)는 “플레이그룹의 두드러진 효과는 융통성 민감성 독창성 등을 자연스럽게 길러줘 창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상황에 따른 사고력을 자극해 장기적으로 학습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다”며 이는 “학습의 3분의 1을 바깥놀이에 할애하는 놀이식 학습 프로그램과 소방수, 산모, 청소부 등에 이르기까지 지역주민들이 교사로 나서서 폭넓은 간접 경험과 이해력을 증진시키는 교육 방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