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지원금 영향, 소득양극화도 개선  
가계지출 350만원 6.6%

3분기 가계동향 ⓒ통계청
3분기 가계 소득 지출 동향 ⓒ통계청

올 3분기 지급된 재난지원금 영향과 경기 회복에 힘입어 가계 소득이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으로 늘었다.

물가 상승 영향 등으로 소비지출도 10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2021년 3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472만 9천 원으로 1년 전보다 8% 증가했다.

현재 기준으로 통계가 작성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3분기 지급된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으로 공적 이전소득이 30.4% 증가했다.

통계청은 소득 증가 폭 8% 가운데 국민 지원금의 영향은 3.1%p이며 이와 함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도 각각 6.2%, 3.7%씩 늘었다고 분석했다.

소득은 전 계층에서 늘었는데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증가폭이 컸다.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전년에 비해 21.5% 늘어 114만2천원을 기록했다. 3분기 기준 1분위 월소득이 100만원대를 넘은 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래 처음이다.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49.7%로 지난해 3분기보다 9.1% 포인트,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보다 4.6% 포인트 줄었다. 적자가구란 처분가능소득보다 지출이 큰 가구를 뜻한다. 

소득 상위 20%(5분위)가구의 월소득은 5.7% 늘어난 1003만7천원을 기록하며 1천만원대를 처음 돌파했다.

양극화 지표도 개선됐다. 5분위 소득이 1분위 소득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5분위 배율은 지난해 3분기(5.92)보다 0.58포인트 줄어든 5.34배였다. 이는 가계동향조사 방식이 개편된 2019년 이후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고, 전체 분기를 모두 보면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기록이다. 

분배 지표가 개선된 주요 원인은 경기 회복보다는 국민지원금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1분위의 근로소득과 이전소득은 모두 22%대로 비슷하게 증가했는데 전체 소득에서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67%)이 근로소득(21%)보다 3배 이상 컸기 때문이다.

가계지출은 35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 증가했다.

가계지출 증가 폭은 2010년 3분기 이후 11년 만에, 소비지출 증가 폭은 2011년 3분기 이후 10년 만에 가장 컸다.

반면 실질 소비지출은 2.2% 늘어나는 데 그쳤다.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가격이 올랐기에 실제로 소비 규모를 늘린 것보다 지출 증가에 더 크게 작용했다는 뜻이다.

지출 증가에도 가계의 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 수지는 다소 개선됐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77만 3천 원으로 1년 전보다 7.2% 증가했다.

흑자액 122만 9천 원으로 12.4%, 흑자율 32.6%은 1.5%p 올랐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