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최소 1100만~2000만 명
“여성 교육 기회 놓치면
사회 발전·경제 성장도 저해” 우려 커져
‘소녀 교육’, 올해 G7 주요 의제로
공동성명도 “소녀 교육 위해
3조600억원 지원하겠다”

13일(이하 현지시간) 막을 내린 제47회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의 주요 관심사는 ‘코로나 19 대응’, ‘기후 위기’, 그리고 ‘소녀 교육’이었다. 여러 긴급한 문제들 중에서도 주요국이 성평등 문제를 비중 있게 논의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 날 발표된 공동성명문(communiqué)에도 “소녀 4000만명이 교육을 받도록 지원하고, 지원금으로 최소 27억5000만달러(약 3조600억 원)를 배정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올해 회의는 영국 콘월에서 열렸다. 개최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도 처음부터 ‘소녀 교육’ 문제를 강조했다. 그는 G7 회의 첫날인 12일 “2025년까지 아직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는 전 세계 소녀 4000만명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G7과 초청국들에게 개발도상국 90개국의 학교에 50억 달러(약 5조6000억원)를 기부하는 ‘교육을 위한 파트너십(GPE, Global Partnership for Education)’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유네스코, 말랄라 펀드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학교 폐쇄, 봉쇄 조처 등으로 인해 학교에 못 가는 소녀들은 최소 1100만~2000만 명에 달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여성에게 돌봄 부담이 쏠리면서, 10대 소녀들이 어린 동생들을 돌보기 위해 등교를 중단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G7의 성평등자문위원회(G7 Gender Equality Advisory Council)도 11일 발표한 ‘G7 정상들에게 보내는 권고’에서 코로나19 같은 위기로 인해 소녀들이 교육받을 기회를 놓친다면 그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물론 경제성장도 저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 “취학 연령의 소녀들에게 투자할 때 성평등을 가장 앞당길 수 있다”는 세계은행의 권고를 언급하며, 소녀들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G7 정상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5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21년 G7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도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2026년까지 소녀 4000만명이 학교에 가도록 지원하고, 10살 이하 또는 초등학교를 마친 소녀 2000만명이 읽기를 배우도록 지원하겠다”는 목표가 채택됐다.
기후위기로 식량·일자리 잃는 여성들 등
다른 시급한 젠더 문제·구체적 실천방안 언급은 빠져
외신들은 G7 정상회담에서 소녀 교육 등 성평등을 주요 문제로 다룬 것을 환영하면서도, 젠더와 관련된 여타 시급한 문제들과, 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언급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기후위기로 인한 젠더 문제는 여성의 농수산업 등 1차산업 종사 비율이 높은 저개발국가에서 두드러진다. 최근 생활 필수품인 물, 에너지, 식량부터 일자리, 사업 기회까지 잃은 여성들이 피해를 호소하면서, 젠더를 고려한 생활·금융 지원과 투자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G7 성평등자문위원회도 이를 언급했지만, 최종 공동성명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