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못 가는 여성 늘수록 세계 미래는 어둡다...G7이 ‘소녀 교육’ 강조한 이유
학교 못 가는 여성 늘수록 세계 미래는 어둡다...G7이 ‘소녀 교육’ 강조한 이유
  • 이세아 기자
  • 승인 2021.06.15 20:36
  • 수정 2021-06-16 0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속 학교 못 가는 소녀들
전 세계 최소 1100만~2000만 명
“여성 교육 기회 놓치면
사회 발전·경제 성장도 저해” 우려 커져
‘소녀 교육’, 올해 G7 주요 의제로
공동성명도 “소녀 교육 위해
3조600억원 지원하겠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두번째 줄 왼쪽부터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세번째 줄 왼쪽부터 UN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이탈리아 마리오 드라기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두번째 줄 왼쪽부터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세번째 줄 왼쪽부터 UN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이탈리아 마리오 드라기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뉴시스여성신문

13일(이하 현지시간) 막을 내린 제47회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의 주요 관심사는 ‘코로나 19 대응’, ‘기후 위기’, 그리고 ‘소녀 교육’이었다. 여러 긴급한 문제들 중에서도 주요국이 성평등 문제를 비중 있게 논의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 날 발표된 공동성명문(communiqué)에도 “소녀 4000만명이 교육을 받도록 지원하고, 지원금으로 최소 27억5000만달러(약 3조600억 원)를 배정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올해 회의는 영국 콘월에서 열렸다. 개최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도 처음부터 ‘소녀 교육’ 문제를 강조했다. 그는 G7 회의 첫날인 12일 “2025년까지 아직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는 전 세계 소녀 4000만명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G7과 초청국들에게 개발도상국 90개국의 학교에 50억 달러(약 5조6000억원)를 기부하는 ‘교육을 위한 파트너십(GPE, Global Partnership for Education)’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유네스코, 말랄라 펀드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학교 폐쇄, 봉쇄 조처 등으로 인해 학교에 못 가는 소녀들은 최소 1100만~2000만 명에 달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여성에게 돌봄 부담이 쏠리면서, 10대 소녀들이 어린 동생들을 돌보기 위해 등교를 중단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유네스코, 말랄라 펀드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학교 폐쇄, 봉쇄 조처 등으로 인해 학교에 못 가는 소녀들은 최소 1100만~2000만 명에 달한다. 사진은 월드비전 구호활동가들이 인도에서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마을마다 교육을 진행하는 모습.  ⓒ월드비전
유네스코, 말랄라 펀드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학교 폐쇄, 봉쇄 조처 등으로 인해 학교에 못 가는 소녀들은 최소 1100만~2000만 명에 달한다. ⓒ월드비전

G7의 성평등자문위원회(G7 Gender Equality Advisory Council)도 11일 발표한 ‘G7 정상들에게 보내는 권고’에서 코로나19 같은 위기로 인해 소녀들이 교육받을 기회를 놓친다면 그 개인과 사회의 발전은 물론 경제성장도 저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또 “취학 연령의 소녀들에게 투자할 때 성평등을 가장 앞당길 수 있다”는 세계은행의 권고를 언급하며, 소녀들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G7 정상들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5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21년 G7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도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2026년까지 소녀 4000만명이 학교에 가도록 지원하고, 10살 이하 또는 초등학교를 마친 소녀 2000만명이 읽기를 배우도록 지원하겠다”는 목표가 채택됐다.

기후위기로 식량·일자리 잃는 여성들 등
다른 시급한 젠더 문제·구체적 실천방안 언급은 빠져

외신들은 G7 정상회담에서 소녀 교육 등 성평등을 주요 문제로 다룬 것을 환영하면서도, 젠더와 관련된 여타 시급한 문제들과, 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언급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기후위기로 인한 젠더 문제는 여성의 농수산업 등 1차산업 종사 비율이 높은 저개발국가에서 두드러진다. 최근 생활 필수품인 물, 에너지, 식량부터 일자리, 사업 기회까지 잃은 여성들이 피해를 호소하면서, 젠더를 고려한 생활·금융 지원과 투자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G7 성평등자문위원회도 이를 언급했지만, 최종 공동성명문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