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이 시작되었다. 나이를 먹을수록 왜 이렇게 한 해는 빨리만 가는지. 한 해는 눈깜짝할 사이에 지나가건만, 엊그제 일은 한 달 전 일처럼 아득하다.

이때쯤이면 다들 자기 나이를 헤아려 볼 것이다. 내가 언제 이렇게 많이 먹었던고 한숨들을 쉴 것이다. 그러고 있으면 자기보다 열 살쯤 많은 선배들은, '참 좋을 때다', '내가 네 나이만큼만 돼도 원이 없겠다' 하고 한 마디씩 할 것이다.

20대 말이거나 30대 초반이라면 이때쯤 <서른 즈음에>가 가슴에 꽂힌다.

또 하루 멀어져간다 내뿜은 담배연기처럼 / 작기만한 내 기억 속에 무얼 채워 살고 있는지 / 점점 더 멀어져간다 머물러 있는 청춘인 줄 알았는데 / 비어가는 내 가슴 속엔 더 아무 것도 찾을 수 없네 / 계절은 다시 돌아오지만 떠나간 내 사랑은 어디에 / 내가 떠나 보낸 것도 아닌데 내가 떠나온 것도 아닌데 / 조금씩 잊혀져간다 머물러 있는 사랑인 줄 알았는데 / 또 하루 멀어져간다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김광석 <서른 즈음에>(1994, 강승원 작사·작곡)

~b2-3.jpg

'꺾어진 환갑'에 이르러 사람들은 비로소 자신이 더 이상 청년이 아니라 무언가를 책임져야 하는 어른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인다. 더 이상 불평 터뜨리고 용돈 타가며 살 수 있는 나이가 아니라는 것을. 그러면서 젊음이 지나가고 있다는 것을 몸으로 느끼기 시작한다. 이런 아쉬움을 넘어서서 자신의 내면으로 좀더 파고들어가면 최승자의 <삼십세>란 시가 가슴에 와닿는다.

“이렇게 살 수도 없고 이렇게 죽을 수도 없을 때 / 서른살은 온다”라고 시작하여, “오 행복행복행복한 항복 / 기쁘다 우리 철판 깔았네”로 끝난다. 어쩔 수 없이 기성세대의 세상 안에 편입되어, 자신이 그토록 경멸했던 사람들처럼 그렇게 살아가기 시작하는 서른 살의 나이를 너무도 적확하게 그려낸다. 그렇다. 굶어죽지 않으려면 얼굴에 철판 깔고 양심이니 정의니 하는 것들을 비현실적인 것으로 적당히 무시하며 살아가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아내와 아이들과 어울려 사는 재미에 희희낙락 즐겁다. 정말 '행복한 항복'이다.

그런데 마흔은 또 다르다. 서른아홉에서 마흔이 되는 여자들은 이 노래가 가슴에 와닿는다.

봄이 지나도 다시 봄 여름 지나도 또 여름 / 빨리 어른이 됐으면 난 바랬지 어린 날엔 / 나이 열아홉 그 봄에 세상은 내게 두려움 / 흔들릴 때면 손 잡아줄 그 누군가 있었으면 / 서른이 되고 싶었지 정말 날개 달고 날고 싶어 / 이 힘겨운 하루하루를 어떻게 이겨 나갈까 무섭기만 했었지 / 가을 지나면 어느 새 겨울 지나고 다시 가을 / 날아만 가는 세월이 야속해 붙잡고 싶었지 내 나이 마흔 살에는 / 다시 서른이 된다면 정말 날개 달고 날고 싶어 / 그 빛나는 젊음은 다시 올 수가 없다는 것을 이제서야 알겠네 / 우린 언제나 모든 걸 떠난 뒤에야 아는 걸까 / 세월의 강 위로 띄워 보낸 내 슬픈 사랑의 내 작은 종이배 하나

양희은 <내 나이 마흔 살에는>(양희은 작사, 김영국 작곡)

@b2-2.jpg

양희은은 자신의 작품세계에서 중요한 전기가 되는 시기에 좋은 가사를 남긴다.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에서 멀어져간 젊음을 다소 감상적으로 아쉬워했다면, 이 노래에서는 이제 확연히 중년에 도달했음을 인정해버린 느낌이다.

여기서 다시 최승자의 시 <마흔>이 생각난다.

“서른이 될 때는 높은 벼랑 끝에 서 있는 기분이었지 / 이 다음 발걸음부터는 가파른 내리막길을 / 끝도 없이 추락하듯 내려가는 거라고. / 그러나 사십대는 너무도 드넓은 궁륭 같은 평야로구나. / 한없이 넓어 가도가도 벽도 내리받이도 보이지 않는, / 그러나 곳곳에 투명한 유리벽이 있어, / 재수 없으면 쿵쿵 머리방아를 찧는 곳. /그래도 나는 단 한 가지 믿는 것이 있어서 / 이 마흔에 날마다, 믿는 도끼에 발등을 찍힌다.”

이제는 서른 살 때 같은 삶의 긴장이 없이 '궁륭 같은 평야'의 지루함만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고 살기 편한 것도 아니고, 매일 예상치 못하게 뭔가에 부딪치며 산다. 세상과 인간에 대한 모든 믿음을 다 끊어버렸다고 생각했는데도, 가끔 배반감과 절망감으로 괴롭다. 그럴 때에야 비로소 '아직도 내가 뭔가를 믿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오십대 어른들은 사십대들을 보고, '뭐든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나이다'라고 부러워한다. 글쎄, 나도 아마 오십이 되면 '이 시도 아직 엄살부릴 기운이 남아 있을 때의 것이었구나' 하는 생각을 할까?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