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다보면 끝이 있겠지요 - ‘29년생 김두리’ 구술생애사] 8화. 없는 살림에 공출까지

김두리 여사는 제 할머니입니다. 할머니의 삶을 기록하는 것은 할머니처럼 이름 없이 살아온 모든 여성들의 삶에 역사적 지위를 부여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역사 연표에 한 줄로 기록된 사건들이 한 여성의 인생에 어떤 ‘현실’로 존재했는지, 그 잔인하고 선명한 리얼리티를 당사자의 육성으로 생생히 전합니다. - 작가 말

놋그릇 대용 사기그릇. 일제는 군사용품에 사용할 금속 확보를 위해 민가에서 사용하는 숟가락, 놋그릇까지 공출했다. 대용품 그릇에는 '결전'이라고 써 있고, 어뢰가 그려져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최규화
놋그릇 대용 사기그릇. 일제는 군사용품에 사용할 금속 확보를 위해 민가에서 사용하는 숟가락, 놋그릇까지 공출했다. 대용품 그릇에는 '결전'이라고 써 있고, 어뢰가 그려져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소장. ⓒ최규화

시집을 와서 보니까, 재산이 너무너무 없어. 아무것도 물(먹을) 게 없는 거야. 집 뒤에 가보니까 단지는 이만큼 크다꿈한(큼지막한) 게 있는데, 마카(전부) 뛰드려보이(두드려보니) 빈 단지야.

뛰드려보는 것도 사람 있을 때는 못 뛰드려봤어. 느그 할매[본인]가 시건(철)은 있었는 택(셈)이지. 두 모자[시어머니와 남편]가 장보러 간다고 자아(장에) 가뿌고 없고, 시아버지는 저쭈(저쪽) 사랑채에 있으니까, 안 듣기는(들리는) 거야. 크다꿈한 단지를 뛰드려보이 마카 빈 단지야. 탕탕탕. ‘이 집에는 뭐를 묵고 사노?’ 싶으더라꼬.

요만한 단지가 하나 있는데, 고는(거기는) 뚜드리이께 빈 단지 소리가 나긴 나. 근데 또 빈 단지가 아인 거 같더라고. 뚜껑을 디께(열어)보니까 고게 쌀이, 요새 말하면은 이십 키로 한 포대기(포대)도 될동 말동 담기 있더라꼬. 고기(그게) 양식이 다야. 요새같이 쉽게 팔아물[쌀을 사먹을] 수도 없었는데. 일제시대 그때는 돈을 쥐도(쥐어도) 어디 가(가서) 잘 팔아묵지도 모했다니까.

어더븐데(어두운데) 밤에 팔아서 오다가 만약에 면서기들인데(한테) 다들렸다(들켰다) 하면, 그양 뺏기고 실컷 당코(당하고, 혼이 나고)……. 쌀을 냈는[판] 집에도 당코, 팔어오는[산] 사람도 당는 거야. 곡석(곡식)은 그양 뺏기고. 돈도 앤 쳐주고 그양 자기네가 가주가 뿌는(가져가 버리는) 거야. 모르게 야매로(암암리에) 내(팔아)묵는다꼬.

[작가 : 그 사람들은 다 한국 사람들이죠?] 한국 사람이라도, 일본 사람보다 한국 사람이 더 나빴지. 와 “왜놈 앞잽이, 왜놈 앞잽이” 안 글나(그러나)? 면서기가 일본 사람이 맻이 있으면 한국 사람도 맻이 있거든? 그때는 한국이 아이고 조선이라 했지. 조선 사람도 맻이 있는 거야.

촌 내용을 촌 사람이 더 잘 아잖아. 말하자면 집 안에 사람캉(이랑) 집 밲에 사람캉 택(같은 셈) 아이가. 그 사람들[일본 사람들]으는 속속들이 내용을 잘 모르잖아. 그러니까 일본 사람 맻이 오면 우리나라 사람 하나둘 따라온다. 그 사람들[조선 사람들]이 더 앞서가지고 다 초디배는(뒤지는) 거야. 숨가놨는(숨겨놓은) 거 다 꺼내고.

즈그 수량대로 공츨 안 대고 묵고살 끼라꼬 숨가놨다가, 다들래서(들켜서) 나오면 또 뛰드려맞는다. 디배서 나왔는 거는 자기네 공출 수량 모잘래면 그걸 가주간다니까. 그래서 더 물 게 없었다. 농사지은 거 그양 묵고살라꼬 했으면은 그렇게 고상(고생)은 안 했지. 그래 배로 곯고, 물 게 없어서 산에 가서 꿀밤 따묵고…….

1940년대 조선총독부 농상국에서 원활한 산미 증식을 위해 제작 배포한 만화 형태의 광고지 ⓒ국립한글박물관
1940년대 조선총독부 농상국에서 원활한 산미 증식을 위해 제작 배포한 만화 형태의 광고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e뮤지엄(국립한글박물관)

그래 시집왔는데 너무 물 게 없는 거야. 집도 하나 없지, 하다못해 조선솥[무쇠솥]도 한 쟁기 없더라꼬. 왜솥[알루미늄 솥] 하나 크다는 거 걸어놓고 그래 사더라꼬.

시집와가지고 두 핸가 지나고 또 느그 증조부[시아버지]가 돌아가셨다. 요새 생각하면 위암이야. 술을 마이 잡숫고, 위병이라 하더라꼬. 술병이다, 술병이다, 이라더라고. 느그 할아버지[남편]캉 나캉 결혼할 때, [편찮으신 지] 하머(벌써) 사오 년 됐는갑더라꼬. 그때 요새같이 약을 아나? 마 돌아가셨지.

시어른이 돈은 벌지는 모하고, 내가 시집와가지고 두 해 만에 돌아가셨으니까 [재산이] 너무 없어. 너무 없어. 논도 다 팔아묵고. 지금 덕정[경북 영천시 고경면 덕정리] 드가면 파계못 있고 동네 하나 있제? 그 동네 앞에 논 닷 되지기, 삼논 고런 기 하나 있더라고. 닷 되지기라면 한 마지기가 안 되고 반지(절반)야. 닷 되지기.

고걸 남 줘가지고 삼베를 해서 옷을 해입고 했는데, 그것도 공출로 돼뿌니까 땅주인 줄 거는 없는 거야. 자기네[소작인]는 좀 남으면 모르게 감직어(감춰)놨다가 옷을 하는지 우야는지, 우리는 그것도 몬 받고.

논이나 밭이나 나무(남의) 꺼를 얻어서 부치묵고 사는 거야. 나무(남의) 땅도 잘 없어. 시제(각자) 지을 것도 없는데 남 줄 땅이 마이 있나? 없어. 그때는 나무(남의) 꺼 두 마지기를 얻어 부쳐서 농사를 지으면, 한 마지기는 주인 주고 한 마지기는 우리가 묵고 그래 해야 됐어. 반지(반으로) 갈라묵는 거야.

그런데 그때는 농사를 올케(제대로) 모하니까 흉년이 져서 더 물 게 없어. 요새같이 나락을 생산을 마이 내면 그렇게 고상을 안 할 낀데, 생산을 못 내니까 고생을 더 마이 한 기라. 물 게 없어가지고.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