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금융이해력 66.8점…OECD 평균 62점

노년층 '금융지식', 청년층 '금융태도' 취약

ⓒPixabay
ⓒPixabay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도 높고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은 '2020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금융이해력 총점 66.8점으로 2018년 조사(62.2점)보다 4.6점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 10일부터 10월 30일까지 만 18~70세 성인 2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 연령층의 금융이해력이 2018년보다 높아졌지만 18~29세 청년층(64.7점)과 60~79세 노년층(62.4점)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금융이해력 조사는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태도로 나눠 평가를 진행됐다.

우리나라 성인들의 금융지식과 금융행위는 OECD 평균보다 높지만 금융태도는 이보다 낮게 나타났다.

금융지식이란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을 말하며,  금융행위는 건전한 금융·경제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행동양식, 금융태도는 현재보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의식을 말한다.

금융태도 점수는 60.1점으로 2018년(61.3점)보다도 낮아졌다.

금융태도 점수가 낮을수록 저축하는 것보다 소비에 만족을 느끼고, 미래보다 현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돈은 쓰기 위해 존재한다는 생각이 크다.

청년층이 '저축보다 소비 선호'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34.2%로 반대 응답(26.0%)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욜로(YOLO, 인생은 한 번뿐이다)'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부문별 최소목표점수 미달 비중을 보면 금융지식은 노년층(45.9%), 청년층(31.5%), 중장년층(26.8%) 순이었고, 금융행위에서는 노년층(49.4%), 청년층(49.0%), 중장년층(30.2%), 금융태도는 청년층(65.6%), 중장년층(61.1%), 노년층(52.8%)으로 나타났다.

금융이해력 점수가 OECD 최소목표점수(66.7점)를 초과 달성한 사람은 전체 성인의 51.9%로 금융이해력이 높을수록 위기 대응능력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들의 경우 저축을 많이 하지만 장기 재무목표 설정 비율은 낮은 것도 특징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성인(97.0%)이 적극적인 저축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장기 재무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성인은 43.5%로 저조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관기관과 협력해 금융·경제교육 효과를 높여나갈 계획으로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을 감안해 온라인 교육과 콘텐츠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금융이해력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