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금리 급등…소비자 부담 증가 우려
은행 가계대출 금리 급등…소비자 부담 증가 우려
  • 김현희 기자
  • 승인 2021.02.28 13:00
  • 수정 2021-02-28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채 금리 상승에 신용대출 조이기 까지

인터넷전문은행과 전통 은행 간 경쟁 등이 금리 상승 유발
서울 중구 하나은행 대출 창구 ⓒ뉴시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대출 창구 ⓒ뉴시스

물가상승 기대감으로 전반적인 시장 금리가 상승하고 신용대출 규제로 우대금리가 축소되면서 체감하는 은행의 대출금리가 크게올라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졌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25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이다.

지난해 7월 말 1.99∼3.51%와 비교해 0.6%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25일 기준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로 지난해 7월 말(2.25∼3.95%)보다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 금리가 6개월 사이 0.6%포인트 뛴 데는 기본적으로 금융채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용대출의 경우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기준)로 삼는다.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0.761%에서 지난 26일 현재 0.856%로 반년 만에 0.095%포인트 높아졌다.

나머지는 작년 10월 이후 금융당국이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들이 우대금리 폭을 크게 깎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은행들은 신용대출 규제의 수단으로서 앞다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줄였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경우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른다.

코픽스는 쉽게 말해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은행권이 2월에 적용한 코픽스(1월 기준)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0.86%로, 작년 7월의 0.81%보다 0.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 정기 예금 금리를 높일 수밖에 없다. 최근 인터넷전문은행과 전통 은행 간 경쟁 등이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가계대출 금리 상승은 신규 차주(돈 빌리는 사람)뿐 아니라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들에게도 부담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로 2억원을 빌렸는데 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연간 이자가 100만원 늘어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5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개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5조1747억원으로 지난달 말(135조2390억원)보다 643억원 줄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