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美 코리아소사이어티 만찬 화상 기조 연설
"어렵게 이룬 성과 되돌릴 수도, 목적지 바꿀 수 없어"

여성신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제75차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화상으로 하는 모습.ⓒ여성신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종전선언 화두를 다시 언급했다. 지난 8일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이 나온 지 2주 만이다. 북한이 해양수산부 소속 어업지도 공무원을 피살하고 조성길 전 이탈리아 북한대사 대리 망명 확인 등 남북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종전선언이라는 고리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로 분석된다.

문 대통령은 7일 오전(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미국의 한미 친선 비영리재단 코리아소사이어티 화상 연례 만찬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영구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시작이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만이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에 진정으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2018년과 2019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화를 멈춘 채 호흡을 가다듬고 있다“며 ”어렵게 이룬 진전과 성과를 되돌릴 수 없으며 목적지를 바꿀 수 없다“고 입장을 재확인했다. 남북-북미 간 대화 재개 의지를 드러냄은 물론, 북한이 소연평도에서 실종된 공무원을 피살한 사건을 정면 돌파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전쟁을 억제하는 것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평화를 만들고 제도화할 때 우리의 동맹은 더욱 위대해질 것“이라며 ”한반도가 분단의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와 번영의 시대로 전진할 수 잆도록 함께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67년간 이어온 한미동맹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7년간 한미동맹은 더 단단해지고, 성숙해졌다“며 ”혈맹으로 출발한 한미동맹은 한반도 평화의 핵심축이 되는 평화·안보동맹으로 거듭났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인권, 역동적 민주주의를 성취하는데도 든든한 보호막이 됐다“고 평가했다. 또 ”이제 한미동맹은 명실상부한 경제동맹으로 양국 간 교역과 투자를 확대하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며 더욱 견고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월 한국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코로나 진단키트를 미국에 최우선으로 제공했으며 미국의 한국발 여행객 입국을 허용하고 참전용사를 위한 마스크를 전달 등을 예로 들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유행과 관련해 ”지금의 위기는 어느 한 국가의 힘으로 이겨낼 수 없다“며 ”한미동맹의 힘을 다시 한번 발휘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BTS(방탄소년단)이 언급됐다.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정신으로 경제협력을 이끌어온 박용만 회장님을 비롯한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 여러분, 양국 간 문화 교류의 핵심 역할을 해준 BTS 여러분의 수상도 축하한다“고 했다. BTS는 한국과 미국 사이 문화 교류의 핵심 역할을 한 공로로 밴 플리트 상을 받은 바 있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한미 간 정치,경제,문화,예술 분야 교류 촉진을 위해 1957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다.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한 양 국민들이 초정됐으며 올해 코로나19 여파로 행사는 화상으로 열렸다. 문 대통령은 연례 만찬에 앞서 영상을 녹화해 보냈다.

 

다음은 문 대통령의 코리아소사이어티 화상 기조연설 전문이다.

코리아 소사이어티 캐슬린 스티븐스 이사장님, 토마스 번 회장님, 함께하신 귀빈 여러분, 반갑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는 한미 양국을 잇는 든든한 가교입니다.

1957년 창설과 함께 양국 간 교류와 우호 협력은 물론, 국제사회가 한국을 이해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해주셨습니다.

오늘 연례 만찬은 한미 관계 발전에 힘써 주신 분들을 초청하는 행사입니다.

이 중요한 행사를 통해 감사의 인사를 전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코로나 때문에 여러분을 직접 뵙지 못하고 부득이 영상으로 감사와 축하의 마음을 전하게 되었지만, 양국이 함께하고자 하는 마음만큼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고 생각합니다.

귀빈 여러분,

어려운 때일수록 ‘진정한 친구’를 생각하게 됩니다.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하신 살바토르 스칼라토 뉴욕주 참전용사회 회장님은 미 해병대 1사단의 용사로, 사선을 넘나들며 싸우신 분입니다.

찰스 랭겔 前 연방 하원의원님 역시 한국전쟁에 직접 참전하셨고, 한국전 참전용사 추모의 벽 건립을 주도하신 것을 비롯해, 46년 의정활동 내내 한미동맹의 발전을 위해 누구보다 앞장서 오셨습니다.

한국인들은 두 분을 포함한 수많은 참전용사들을 ‘진정한 친구’로 여기고 있습니다.

지구 반대편 이름도 생소한 나라에서, 자유와 평화를 위해 함께 싸워준 친구들을 한시도 잊은 적이 없습니다.

오늘날 굳건한 한미동맹도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스칼라토 회장님, 찰스 랭겔 前 의원님, 그리고 두 분이 대표하는 모든 참전용사 여러분, ‘밴 플리트 상’ 수상을 한국 국민과 함께 축하드립니다.

한미동맹의 정신으로 경제협력을 이끌어온 박용만 회장님을 비롯한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 여러분, 양국 간 문화 교류의 핵심 역할을 해준 BTS 여러분의 수상도 축하합니다.

귀빈 여러분,

지난 67년간 한미동맹은 더 단단해지고 성숙해졌습니다.

혈맹으로 출발한 한미동맹은 한반도 평화의 핵심축이 되는 평화·안보동맹으로 거듭났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인권, 역동적 민주주의를 성취하는데도 든든한 보호막이 되었습니다.

이제 한미동맹은 명실상부한 경제동맹으로 양국 간 교역과 투자를 확대하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며 더욱 견고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코리아 소사이어티의 설립자 故 밴 플리트 장군은 한국의 발전을 자랑스러워하며, 한국을 “나의 또 다른 고향”이라고 했습니다.

한국의 성취는 미국과 함께 이룬 것이며, 양국은 위대한 동맹으로 더 많은 성취를 이룰 것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국제사회와의 공조 위에 디지털과 그린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세계경제 위기도, 양국이 함께 대응하고 극복해 갈 것입니다.

무엇보다 한미동맹을 떠받치는 힘은 양국 국민 사이의 끈끈한 유대와 문화적 가치의 공유입니다.

250만 재미동포들은 미국 사회의 당당한 일원이자, 한미 우호 증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산입니다.

5만 명에 이르는 한국 유학생과 3천여 명의 미국 유학생은 더 풍성한 양국 관계의 미래를 예고합니다.

한국의 신세대는 한국적 감수성에 인류 보편의 메시지를 담아 세계와 소통하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가 아카데미와 빌보드에 진출할 수 있었던 것도 오랫동안 양국이 문화의 가치를 공유해온 결과입니다.

우리의 동맹은 코로나 위기에서도 빛났습니다.

한국이 초기 코로나 발생국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미국은 ‘투명성’, ‘개방성’, ‘민주성’에 기반한 한국의 방역 대응을 신뢰하며, 한국발 여행객의 입국 허용을 유지해주었습니다.

한국은 지난 4월 국내 코로나 확산이 심각한 상황 속에서 진단키트를 미국에 최우선적으로 제공했고, 참전용사들을 위한 50만 장의 마스크를 포함해 250만 장의 마스크를 우정의 마음으로 전달했습니다.

지금의 위기는 어느 한 국가의 힘만으로 이겨낼 수 없습니다.

한미동맹의 힘을 다시 한번 발휘할 때입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G7 정상회의 참여를 요청해주셨습니다.

양국 간의 깊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한국의 책임과 역할을 요구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국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것입니다.

코로나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입니다.

이제 한미동맹은 지역 차원을 넘어 글로벌 이슈에 함께 협력하며 새롭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안보협력과 경제·사회·문화 협력을 넘어, 감염병, 테러, 기후변화와 같은 초국경적 위기에 함께 대응하며 ‘포괄적 동맹’으로 그 지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양국이 코로나 위기 극복의 선두에 서고 더 굳건한 동맹으로 새롭게 도약해 가길 기대합니다.

귀빈 여러분,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나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에서 전쟁이 완전히, 영구적으로 종식되어야 함을 국제사회에 호소했습니다.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시작이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만이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에 진정으로 보답하는 길입니다.

지난 2018년과 2019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화를 멈춘 채 호흡을 가다듬고 있습니다.

어렵게 이룬 진전과 성과를 되돌릴 수는 없으며, 목적지를 바꿀 수도 없습니다.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해 양국이 협력하고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게 되길 희망합니다.

전쟁을 억제하는 것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평화를 만들고 제도화할 때 우리의 동맹은 더욱 위대해질 것입니다.

한반도가 분단의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와 번영의 시대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랍니다.

존 에프 케네디 대통령은 “평화는 의견을 조금씩 나누고 바꿔가며 장벽을 서서히 무너뜨리고, 조용히 새로운 구조를 세워가는, 일일, 주간, 월간 단위의 과정”이라고 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긴밀히 소통하고 조율하여 주변국과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조를 이끌어낼 것입니다.

또 당사자인 북한과도 마음을 열고 소통하고 이해하며, 신뢰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갈 것입니다.

다시 한번 귀한 자리를 마련해주신 코리아 소사이어티에 감사드립니다.

한국은 ‘진정한 친구’를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향한 담대한 여정을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We go together!”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