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세부추진전략 중 하나인 '안전망 강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여성신문·뉴시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세부추진전략 중 하나인 '안전망 강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여성신문·뉴시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확산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는 한동안 멈춰진 우리 사회를 대전환의 계기로 만들었다. 문재인 정부는 한국판 뉴딜에 5년간 160조를 투입해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불평등을 줄이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디지털 뉴딜정책의 경우 민간주도의 협의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얼라이언스’가 발촉 되었다. 참여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공개하고 공공데이터와의 융.복합을 추진 할 계획이라고도 한다. 또한 플랫폼 간 거래를 활성화하여 데이터 전(全)주기의 생태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정부가 디지털 뉴딜 정책에 강한 의지와 추진력을 동원할 때 여성계는 보다 빠르게 ‘디지털 뉴딜정책’에 대해 파악하고 움직여야 한다. 현 정책은 여성들의 삶을 변화시킬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사회는 정부와 민간, 부처와 부처, 민간과 민간의 정보 즉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단절돼 있는 데이터 정보를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거래를 공식화하고 개방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분야의 데이터를 크로스하여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정책적 변화는 우리 사회의 경제적 구조 변화만이 아니라 사회적 구조 역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수정과 보완 역시 빠르게 정리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어떤 정책보다 젠더 정책은 다른 부처와 민간의 데이터 공유가 중요하다. 젠더 이슈들은 단순한 여성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성가족부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관련 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자료가 필요하다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의 방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력단절여성들의 단절 사유인 ‘자녀 양육’에 대한 고민을 더 확대해 관련 부처인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그리고 민간 기업들이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해낼 수 있게 된다. 즉, 공공과 민간이 각각의 영역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해내고 서로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여 현실적인 정책제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현 정책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방향성을 찾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관련 정책이 ‘디지털 뉴딜정책’으로 인해 여성들에게 새로운 방향을 제시 할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 디지털 정책의 한 축은 비대면화 확산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관련 산업 육성이다. 따라서 비대면 인프라를 구축하고 비대면 대응을 위해 필요한 역량과 인프라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때문에 비대면과 디지털 전환은 재택근무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경력단절여성들 뿐만 아니라 예비 경력단절여성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교육 프로그램도 정책에 맞도록 새롭게 개발되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 기회를 넓힐 수 있어 관련 정책의 성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디지털 뉴딜 시대에 젠더 정책의 방향성을 갖기 위해서는 젠더 정책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분석, 젠더정책에 대한 평가들이 과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 역할을 빅데이터가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

강현희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기획·정책센터장.<br>현&nbsp;방송통신심의위원회 권익특별위원회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위원.
강현희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기획·정책센터장.<br>현&nbsp;방송통신심의위원회 권익특별위원회 위원, 방송통신위원회 보편적시청권보장위원회 위원.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