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정부는 이번 주말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한 차례 더 연장할지 다른 방식으로 전환할 지를 결정한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19일까지로 예정된 2차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의 연장 여부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21일부터 전 국민의 외출 자제와 종교, 체육, 유흥시설 등의 운영을 제한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해왔다. 그 뒤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4월5일까지만 실시하려 했으나 방역 상황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판단하고 4월19일로 한 차례 연장했다.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생활방역을 사회적 거리두기와 다른 개념으로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생활방역이 된다 해도 1~2미터 정도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여전히 필요하다”며 “생활방역이 물리적 거리두기의 기본적 원칙을 완전히 무시하고 새로운 형태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라는 부분을 이해해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와 생활방역의 가장 큰 차이는 방역수칙을 준수하지 않았을 때 강제적 조치 여부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10일과 16일 1·2차 민·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생활방역위원회를 열고 관련 의견을 수렴했다. 생활방역위원회에서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급격히 전환하는 것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또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 수준에서 생활방역 단계로 넘어갔을 때 숨겨져 있는 확진환자 특히 무증상 감염자들이 늘어날 위험이 남아 있기 때문에 전문가와 중앙부처, 지자체 등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방역 강도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주말까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일 확진자가 50명 미만으로 유지되고 감염경로 미확인 신규 확진 사례가 5% 미만으로 유지되는 상황 등 생활방역체계 전환의 기준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신규 확진자는 5일째 20명대로 유지되고 있다. 이에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앞서 발표한 기준이 완전한 기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그것이 달성되었다고 바로 생활방역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