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선구자' 조양호 회장 1주기 추모행사…코로나19 속 경영철학 되새겨
'항공업계 선구자' 조양호 회장 1주기 추모행사…코로나19 속 경영철학 되새겨
  • 조혜승 기자
  • 승인 2020.04.09 11:57
  • 수정 2020-04-12 17: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의 1주기 추모행사가 8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하갈동 소재 신갈 선영에서 진행돼 고인이 경영철학을 되새겼다. ⓒ대한항공

 

고(故)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의 1주기 추모행사가 8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하갈동 소재 신갈 선영에서 진행돼 고인이 경영철학을 되새겼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항공업계가 위기에 직면한 시점에서 조 회장의 경영철학이 재조명 받는 분위기다.

이날 추모행사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정석기업 이명희 고문, 한진칼 조현민 전무 등 가족과 약 90여명의 그룹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조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인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만 불참했다. 코로나19 확산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추모 행사는 별도로 갖지 않았다.

조양호 회장은 1974년 대한항공에 입사 이후 45년 동안 정비와 자재, 기획, IT, 영업 등 항공 실무 분야를 거쳐 1992년 대한항공 사장, 1999년 대한항공 회장, 2003년 한진그룹 회장에 올랐다.

조 회장은 대한항공이 전 세계에서 주목하는 글로벌 선도 항공사로 받돋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항공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제시했으며 국제 항공업계에서 명망을 높여 항공산업의 위상을 제고해왔다.

조 회장은 1996년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최고 정책 심의 및 의결기구인 집행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2014년부터 31명 집행위원 가운데 별도로 선출된 11명으로 이뤄진 전략정책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이어 조 회장은 델타항공과 조인트 벤처를 추진했고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에 힘을 보탰다. 국가의 심부름꾼 역할을 한다는 소명 의식으로 2009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을 맡아 재임기간 1년간 64만km를 따니며 평창에 대한 지지를 호소해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이끌었다.

조 회장의 경영철학은 ‘시스템 경영론’이다. 최고 경영자는 시스템을 잘 만들고 원활하게 돌아가게끔 해 구성원들이 각자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율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조 회장은 절대 안전이 지상 목표로 하는 수송업에서 필수적 요소이며 고객과 접점이 이뤄지는 곳이 바로 현장이라고 강조했다. 항공사의 생명은 서비스이고 최상의 서비스가 최고의 항공사로 평가받기 때문에 고객중심 경영에 중점을 뒀다. 해외 출장을 통해 서비스 현장을 돌아 볼 수 있었다는 이야기는 알려진 바다.

1949년 한진그룹 창업주인 고 조중훈 회장의 장남으로 태어난 조 회장은 지난해 4월 8일 미국 로스엔젤레스(LA)의 한 병원에서 폐가 섬유화돼 호흡 곤란에 이르는 폐섬유화증으로 별세했다. 별세 당시 조 회장은 “가족들과 잘 협력해 사이좋게 이끌어 나가라”고 당부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