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의 확산 때문인듯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3만9159건으로 197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적었다. 인구 1000명당 결혼 건수를 의미하는 조(粗)혼인율도 지난해 4.7명으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 [서울=뉴시스·여성신문]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3만9159건으로 197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적었다. 인구 1000명당 결혼 건수를 의미하는 조(粗)혼인율도 지난해 4.7명으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 [서울=뉴시스·여성신문]

 

우리나라의 혼인율이 사상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19일 지난해 전국 시,구청에 신고한 혼인, 이혼신고서의 신고내용을 기초로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혼인·이혼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3만9천200건으로 전년보다 7.2%인 1만8천500건이 감소했다. 이 수치는 2011년 32만9천87건 이후 8년째 감소한 것으로 1970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최소다. 1996년에만 해도 43만건이었던 혼인 건수는 1997년 이후 30만건대로 떨어진 뒤 2016년에는 20만건대로 추락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따지는 조혼인율은 4.7건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후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조혼인율은 2007년만 해도 7건을 기록했다가 2015년 6건이 무너진 뒤 지난해 5건 아래로 내려갔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브리핑에서 "혼인이 가장 집중되는 연령대인 30대 초반 인구가 감소했고, 사회조사 결과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급감하는 데서 볼 수 있는 결혼에 대한 인식이 변화가 혼인이 감소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조사한 2018년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의 과반이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12년 62.7%에서 2018년 48.1%로 감소했다. 특히 미혼 여성의 경우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2012년 43.3%였는데 2018년에는 22.4%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김진 과장은 "소득이나 주거 같은 독립된 생계를 전제로 하는 결혼여건이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과 여성의 경제활동이 지속해서 늘어나면서 혼인에 따른 경력단절 부담도 늘어 전반적으로 만혼 비혼 현상 심화하는 것도 혼인 감소의 원인"라고 분석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 33.4세, 여성 30.6세로 남녀 모두 전년 대비 0.2세가 상승했다. 연령별 혼인율을 살펴보면 남성은 30대 초반이 34.8%로 가장 높았고 20대 후반이 21.0%, 30대 후반이 19.3%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20대 후반 34.2%로 가장 높았고 30대 초반이 29.9%, 30대 후반이 12.7% 순으로 집계됐다.

남성의 경우 2010년대 중반 이전에는 25~29세인 20대 후반의 혼인율이 하락하고 30~34세인 30대 초반의 혼인율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부터는 30대 초반의 상승세마저 약해졌다. 여성의 경우 2010년대 중반부터는 30대 초반의 혼인율 상승세가 정체되고 20대 후반의 혼인율은 보합세에서 하락세로 전환했다.

이혼 건수는 11만831건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혼인 지속 기간별 이혼 건수를 살펴보면 20년 이상이 34.7%인 3만840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년 이하가 21.0%인 2만3300건을 차지했다.  황혼이혼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혼 건수는 20년 이상과 4년 이하가 합쳐 전체 이혼의 55.7%를 차지했다.

 

키워드
#결혼 #이혼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