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이 최근 발표한 성별격차지수(GGI) 상위 10개국.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 수준이 높다는 의미다. ⓒ세계경제포럼
세계경제포럼이 최근 발표한 성별격차지수(GGI) 상위 10개국.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 수준이 높다는 뜻이다. ⓒ세계경제포럼

전 세계의 모든 분야에서 성별에 따른 격차가 해소되기까지 99.5년이 더 걸릴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08년이었던 지난해 전망치보다 조금 당겨졌지만 성평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국가별 양성평등 수준을 보여주는 성별격차 순위에서 한국은 중국보다 낮은 108위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최근 전세계 153개국의 성별에 따른 격차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발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지난 16일 밝혔다. 보고서는 경제활동 참여·기회, 교육적 성취, 건강·수명, 정치적 권한 등 4개 부문 통계를 이용해 성별격차를 지수화했고,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남녀가 평등하다는 걸 의미한다.

지난해보다 성별격차가 개선된 부분은 정치 부문의 여성 진출이 확대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여성 의원 비율은 전체 25.2%, 장관직 비율은 21.2%로 지난해(각각 24.1%, 19%)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정치 분야에서 성별에 따른 격차가 해소되는 데 필요한 시간은 107년이었던 지난해보다 12년 단축됐다.

세계경제포럼이 최근 발표한 성별격차지수(GGI) 상위 10개국. 지수가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 수준이 높다는 의미다. ⓒ세계경제포럼
전세계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 프랑스의 여성 임원 비율은 4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세계경제포럼

경제 분야에선 성별에 따른 격차가 더 늘어났다. 세계적으로 15~64살 사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비율은 55%였다. 이는 78%인 남성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보고서는 “관리직·대표직 등의 여성 비율이 여전히 낮은데다, 자동화 등 기술 변화가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은 소매업 분야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경제 분야의 성별격차가 해소되려면 257년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난해 전망 때보다 무려 55년이나 더 늘어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153개국 중 성별격차가 가장 작은 나라는 아이슬란드였다. 아이슬란드의 성별격차지수(GGI)는 0.877이다. 그 뒤를 노르웨이(0.842)·핀란드(0.832)·스웨덴(0.82) 등 북유럽 국가들이 차지했다. 한국의 성별격차지수는 0.672로, 순위로 봤을 땐 108위였다. 지난해보다 7계단 상승했다. 그러나 중국(106위)보다 2계단 아래였다. 일본은 121위로 한국보다 13계단 아래였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