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3.8 대학생 공동행동 등 대학생 단체가 '성폭력 가해 교수 파면 촉구, 대학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2018년 8월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3.8 대학생 공동행동 등 대학생 단체가 '성폭력 가해 교수 파면 촉구, 대학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 인원이 평균 1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인천 연수구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2018년 교육부 정책보고서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실태조사 및 제도개선 방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 관련 인력은 평균 0.90명이었다.

전문대학이 0.85명, 일반대학은 0.93명이었다. 경기권이 1.02명으로 유일하게 평균 1명을 넘었다. 반면 경북권은 0.67명으로 가장 낮았다.

성희롱·성폭력 고충상담 관련 인력은 근무환경도 열악했다. 고충상담자들 중 타 업무 겸임 비율이 일반대학 88.3%, 전문대학 99.2%였다. 이 중 행정업무를 겸임이 17.8%, 학생 지원 업무가 12.3%였다. 상담 및 교육에만 집중하지 못하는 인원이 약 30%정도인 셈이다.

고용형태도 불안정했다. 기간제 계약직이 41%, 무기계약직 18.3%였고 정규직 38.8%에 그쳤다. 이는 근무기간 안정성 악화로 이어졌다. 1년 미만 26.3%, 1~2년 미만 21.8%, 2~5년 미만 28.2%, 5년 이상 23.7%였다.

관련 분야 업무 경험은 일반대학 41.5%, 전문대학 31.5%, 기타 36.4%로 나타났다. 절반 가량이 관련 업무 경험이 없었다.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인력은 일반대학 45%, 기타 45.5%, 전문대학은 27.7%였다.

박찬대 의원은 "성희롱·성폭력 사건에 대한 대학 차원의 교육과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의 지원과 관심이 중요하다"며 "지금부터라도 담당자의 전문성 및 근무환경 개선과 대학 내 담당기구 명칭 및 담당 상위 조직 통일 등을 위해서 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키워드
#성폭력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