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경협, 여성경제인협회 정책토론회 개최… ‘여성의 경제활동 어떻게 높일 것인가‘라는 주제 아래 해법 모색

정윤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이 개화사를 하고 있다.
정윤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장이 개화사를 하고 있다.ⓒ곽성경 여성신문 사진기자

정윤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 회장은  18일 “여성기업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39%, 전체 고용의 24%를 차지하고 신설법인의 25%가 여성기업일 정도로 우리 경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여성의 경제활동을 높이기 위해 여성 경제인만의 노력으로 부족한 만큼 정부와 국회, 각계각층의 지속적인 관심과 차별화된 경제구조 탈피·불공정한 거래 개선·사회적 약자에 대한 창업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여성경제연구소 개소 기념 정책토론회에서 ”델 테크놀로지스가 발표한 ‘2019 여성기업가 시티 인덱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50개 도시 중 서울이 여성 창업 및 기업가 환경 평가에서 41위로 여성들이 기업활동을 하는데 많은 걸림돌이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9.4%로 OECD 36개국 중 32위로 지난 19년간 50%대 머물고 있다.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끌어올리려면 여성들이 기업활동을 하기 좋은 환경을 만다는데 구조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날 토론회는 ‘여성 경제활동 어떻게 높일 것인가?’라는 주제로 여성경제연구소와 한국여성경제인협회가 주최하고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여성가족부가 후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학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과, 홍의락·김기선·김삼화 국회의원 등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3당 간사 등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날 여성 기업의 질적 제고를 위한 의견이 나왔다. 발제를 맡은 서경란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이 제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여성 기업은 지난 10년 간 28.9%가 증가했다. 하지만 숙박·음식점업 및 도소매업에 편중된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 벤처, 기술혁신기업은 전체 5%에 그쳤고 여성 1인 창조기업도 전체 기업의 29.6%불과했다.

서 부소장은 “여성 기업이 양적으로 늘고 있지만 여성 기업의 비중이 숙박·음식점업 및 도소매업 비중이 58%에 달한다”라고 했다. 생존율이 낮고 혁신형 기업 등 혁신 관련 인증을 받은 기업이 5%에 불과해 창업 후 3년 이내 성장 초반에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은 유리천장 지수 발표에서 매년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라며 “특히 성별임금격차, 여성고위관리자, 여성기업이사회 여성 비율에서 최하위 수준으로 여성들은 여전히 기업하기 어렵고 이들을 위해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여성은 저평가되어 있고 노동시장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에 서 있는 상황에서, 여성경력유지를 위한 경력단절예방과 여성임원 확대, 여성기업인 지원 및 발굴, 성평등임금공시제 등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김보례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경제연구소 팀장은 “남성기업보다 여성기업이 여성의 고용 비율이 높다”라며 “여성창업의 경우 생계형 창업 비율이 높고 혁신형 기업은 남성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기업지원 사업에서 여성의 수혜율은 2018년도 기준 19.4%로 낮기 때문에 성별 기업 지원 실적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돼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팀장은 이어 “폐업·재기의 경우, 재창업 비중과 폐업에 대한 인지가 남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여성기업 육성사업 예산이 연도별로 증감이 반복돼 중,장기적인 기업지원이 어려운 만큼 여성기업 육성 사업에 대한 예산 안정화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김상준 이화여대 교수는 “여성이 좋게 느끼는 일자리는 거시경제적 입장에서 좋지 않는 일자리“라며 ”여성기업이 주로 속한 산업이나 여성이 주로 종사하는 직종군은 성장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경쟁이 심한 대부분 레드오션“이라고 했다. 또 "경력단절은 병역의무 등 남성에게도 존재하고 있으나 여성의 경력단절이 자신의 경력이 어느 정도 확정된 이후 이뤄져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산업별 직종별로 어떤 요인이 경력 경로 결정에 영향을 주는 지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