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대 성희롱 사건은 ‘묵묵부답’
여성 교장 비율, 초등학교 34.5%
취업 시장 성차별부터 개선돼야

점심식사하는 초등생들.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뉴시스·여성신문
점심식사하는 초등생들.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뉴시스·여성신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초등 교사 임용의 ‘여초현상’만을 두고 학생들에게 양성평등 교육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한 가운데 성비보다 제대로 된 양성교육을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지난 6월 23일 조희연 교육감이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초등 교사 임용의 ‘여초현상’만을 두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성 역할을 교육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이날 조 교육감은 “양성평등적인 시각을 가져야 하는 교육현장에서 이런 극단적인 성별 쏠림현상이 있어 고민이 많은 상황”이라며 “서울시교육감 권한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없다. 다만 이 부분과 관련해 여성단체나 여성주의 진영에서 한 번 논의를 해주셨으면 하는 소망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2019학년도 공립(국립) 유치원·초등·특수교사 임용시험에 여성이 압도적인 수로 합격한 상황이다. 지난 1월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임용시험 합격자 총 368명 가운데 여성이 313명(85.05%), 남성이 55명(14.95%)이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10년간 서울 국공립 초등 교사 합격자 가운데 남교사 비율은 10명 중 1~2명에 그쳤다.

그러나 초등학교 내 여성들이 겪는 유리천장 문제도 있어 조 교육감의 발언이 역차별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평교사에 여성이 많아도 학내 최고 관리자인 교장은 대부분이 남성이기 때문이다. 2016년 통계청 조사에서 학교급별 여성 교장 비율은 초등학교 34.5%, 중학교 24.3%, 고등학교 9.9%였다.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여교사가 비율이 전국적으로 78%다. 중학교 교사는 70%, 고등학교 교사는 51%, 대학 등 고등교육 과정의 여성 교원은 35%로 교육단계가 올라갈수록 여성 비율은 줄어들었다.

이에 누리꾼 sent****은 “남교사 비중이 높은 중등에선 여교사 (비율) 높이자는 소리는 안하면서...”라고 글을 남겼다. 다른 누리꾼 star****은 “교육감부터 여자로 바꾸자. 대부분 (교육감이) 남자. 성비불균형”이라고 했다.

또 다른 네티즌들은 서울교대 성희롱 사건을 언급하며 이번 조 교육감의 발언을 비판했다. 특히 사건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은 것에 대해 분개했다. 누리꾼 yool****은 “서울교대 사건 처벌도 제대로 안하면서, 초등 남교사들을 확대해야한다고?”라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누리꾼 comh****도 “서울교대 (카카오톡) 단톡방 현직교사 7명, 예비교사 11명이나 처벌했으면 좋겠다. 3개월이 넘었다”며 얼마 전 있었던 서울교대 단톡방 성희롱 사건을 꼬집었다.

조 교육감의 발언 취지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공보 담당자는 “많은 움직임이 있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한 말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추진 계획이 없어 성별 쏠림현상 문제에 대해 도움을 청하고 방향을 잡기 위해 발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반박해 교사의 성별 문제보다 교육의 문제가 더 크다는 의견도 있었다. 서울여성노동자회 관계자는 “교육현장에서의 양성평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여성의 쏠림현상 때문이라고 하는 논점 자체가 잘못됐다”며 “아직도 교장‧교감은 대부분이 남성이다. 그 사람들이 어떤 교육관을 가지고 학교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성평등 교육 문제뿐 아니라 취업 시장에서의 성차별부터 근본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공공부문 취업 시장에 여성들이 몰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캔사스대 사회학과 김창환 교수와 오병돈 연구원의 논문 ‘경력단절 이전 여성은 차별받지 않는가?’에 따르면 민간기업의 남녀 임금 차별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공무원과 교사 등 공공부문에서 여성의 소득은 남성의 97.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직업군보다 격차가 훨씬 적었다. 연구팀은 공공부문의 2.6% 남녀 임금 격차는 사실상 군필 남성과 여성 사이의 호봉 격차 정도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북지부 여성위원회 연대 관계자도 “공무원과 같은 조직 외에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보장해주는 경우가 없다. 그래서 여성들이 더욱 몰리는 거 같다”며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이지 남성만 늘리는 게 해법이 아니다. 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