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문화의 카르텔' 긴급토론회
수습 때부터 성인지 감수성 교육 필요

강간문화의 카르텔: 언론의 젠더감수성과 저널리즘 윤리 ⓒ여성신문
강간문화의 카르텔: 언론의 젠더감수성과 저널리즘 윤리 ⓒ여성신문

“한국 사회의 강간문화는 공유된 무관심이다. 어느 누구도 질문하지 않았다. 이번 '남기자 단톡방 사건'도 그러한 놀랍지 않은 것 중 하나에 불과하다.”

최이숙 동아대학교 교수는 9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와 한국여성민우회 주최로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강간문화의 카르텔: 언론의 젠더감수성과 저널리즘 윤리’ 긴급토론회에서 '남기자 단톡방 사건'을 이렇게 진단했다.

이 사건은 남성 기자들이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이하 단톡방)에서 불법 촬영물과 성매매 업소 정보를 유포, 공유했다는 사실이 보도되면서 드러난다. 이들은 성범죄 피해자의 신상정보도 공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남성 기자들이 단체 카톡방에서 나눈 대화 내용을 보면 범죄 행위에 대한 수치심이 낮고 대화의 대상, 타자에 대한 공감 능력이 결여됐다고 지적했다. 또 남성 기자가 행위 주체가 되면서 기자의 불신이 언론의 불신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한국 언론의 오랜 ‘강간문화’ 역사가 남기자 단톡방 사건으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최 교수는 "한국 언론 윤리의 부재와 한국 언론이 놓인 구조적 자원이 결과적으로 강간문화의 방조자적 역할을 했다"면서 "민주화 이전 언론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압도했고, 압도적인 남성 기자의 수와 적은 비율의 여성 기자·여성 임원의 수가 결과적으로 언론사 내 부정적인 남성문화의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특히 최 교수는 “취재를 위해 기생집과 룸싸롱을 드나들던 관행이 오늘날의 남기자 단톡방으로 나타났다”고 짚었다. 

기자 집단에 대한 불신은 곧 언론 신뢰도에 대한 타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언론인 교육 내실화를 강조했다. 특히 수습기자 때부터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최 교수는 제안했다.  

문제가 되었던 남기자 단톡방 ⓒ미디어오늘

 

토론에는 고이경 DSO 디지털성범죄아웃 활동가, 김경희 한림대학교 교수, 김효실 한겨레 기자, 오정훈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이윤소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장이 나섰다. 

고이경 활동가는 남기자 단톡방 사건에서 굉장히 비윤리적인 행태를 보이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남기자 단톡방에서 참가자들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개인 신상 정보와 일상 생활 사진, 실명, 직업, 사생활 정보 등을 무작위로 공유하며 성희롱했다고 밝혔다. 

김효실 기자는 “일부 언론사들이 조회수를 올리기 위해 여성의 노출사진을 선정적 제목과 함께 무분별하게 올리며 이득을 본 적이 있다. 강간문화 카르텔의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김경희 교수는 기자들이 성인지 감수성과 성폭력 사건에 대해 가져야 할 감수성에 대해 말했다. “이번 문제는 과연 기자는 전문직인가라는 문제와 직결된다.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가르는 것은 윤리의식이다”라고 말했다. 

오정훈 위원장은 “여성기자, 여성간부의 수가 증가하면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문제가 된 기자들의 엄중 처벌이 필요하다 말하고 성인지 감수성 고양을 위한 교육과 여성 기자 지위 향상 및 채용의 필요성에 대해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