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jpg

~16-2.jpg

@16-3.jpg

▶진보적인 작가 겸 평론가인 수잔 손택.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잔 손택(Susan Sontag)은 남녀를 통틀어 미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또 가장 영향력 있는 지식인이다. 1960년대 이후 작가로서, 또 문화평론가, 정치해설가로 다방면에 걸쳐 진보적인 글쓰기와 인권운동에 앞장서 온 손택은 9·11 테러사건 직후엔 거침없는 미국 정책 및 미디어 비판으로 보수진영으로부터 욕설에 찬 공격을 받기도 했다.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글들을 통해 1960년대 이후 미국 전위예술과 지식세계에 큰 영향을 끼친 그는 스스로 소설가로서, 또 영화감독으로서 활동하기도 했다.

올해 70세가 되었지만 여전히 날카로운 현실인식과 비판정신으로 부시 행정부와 미국의 보수주의 물결을 꼬집고 있는 손택이 선정한 고전 일본영화 여덟 편이 최근 이곳 로스앤젤레스에서 상영돼 많은 관심을 모았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이 지난 7∼15일 개최한 ‘수잔 손택의 선택: 8편의 클래식 일본영화’에선 미조구치 겐지, 나루세 미키오, 구로사와 아키라 등 일본영화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1세대 감독들의 작품이 골고루 포함됐다.

상영작은 미조구치 겐지의 <기온의 자매>(1936), 고쇼 헤이노스케의 <굴뚝이 보이는 곳>(1953), 하라 가츠오의 <벌거벗은 황군의 행진>(1987), 구로자와 아키라의 <나의 청춘에 후회는 없다>(1946), 오시마 나기사의 <교수형>(1968), 요시무라 고자부로의 <안조가의 무도회>(1947), 나루세 미키오의 <부운>(1955)과 기노시타 게이스케의 <24개의 눈>(1954)이다.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아우르고 있고, 3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작품을 골고루 포함했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에 열린 상영회에는 영화평론가로도 널리 알려진 수잔 손택의 명성을 반영하듯 많은 관객들이 자리를 메웠다.

미술관측 기획자의 설명에 따르면 손택은 오랫동안 일본 문화와 영화의 팬이었으며, 지금도 매주 5편의 영화를 극장에 가서 볼 정도로 지독한 영화광이다. 손택은 이 영화제의 소개글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본영화 목록에는 늘 수십 편의 영화가 포함되지만 “이번에 선택한 여덟 편의 영화들은 일본 고전영화의 날카로운 주제의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라고 설명했다.

그 주제들로는 ‘근대성과의 대결, 가족의 분노가 가져오는 위기, 세계 2차대전의 후유증과 특히 여성들이 처한 상황’을 꼽았다. 손택은 미조구치 겐지의 작품을 더 포함시키고 오즈 야스지로와 이마무라 쇼헤이의 작품을 더했으면 했지만 필름 프린트 수급 문제로 넣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오즈 야스지로는 올해가 탄생 100주년으로 그의 영화 판권을 지닌 쇼치쿠 영화사가 올해 필름의 일반 대여를 동결했다.)

수잔 손택은 특히 클래식 일본영화의 빼놓을 수 없는 특징으로 강한 여성 캐릭터들을 꼽으면서 이번 영화들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배우들-하라 세츠코 (오즈 영화의 단골 주연이기도 하다), 타나카 기누요, 타카미네 히데코-이 세계 영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연기자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자신이 일본영화에서 가장 좋아하는 점은 바로 “좀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소망, 영화에 영혼이 깃들여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택은 이 같은 점은 특히 세계대전 이전의 작품들에서 그 싹을 보여 2차대전 이후 20여 년간의 작품에서 그 절정을 이루었다고 지적했다. 요즘의 영화들과 달리 고전영화들은 도덕적인 진지함과 내러티브 예술로서의 표현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상영된 여덟 편 중에서 유일하게 2차대전 이전인 1936년에 제작된 미조구치의 <기온의 자매들>은 교토시 기온구에서 게이샤로 일하는 두 자매의 이야기. 언니인 우메기치는 보수적이며 게이샤의 전통적인 규칙과 가치를 준수하는 올드패션적인 게이샤로 최근 파산을 맞아 빈털터리가 된 손님에 대한 신의를 버리지 않고 자신의 집에서 정성껏 모신다. 보다 현대적인 동생 오모차는 어차피 게이샤는 게이샤라며 언니의 행동을 바보라고 공격하며 자신의 교태에 속수무책 넘어가는 남자들의 약점을 최대한 이용해 원하는 것을 취하며 사는 방식을 택한다. 미조구치는 그러나 두 자매의 서로 다른 생존방식에도 불구하고 종국에는 똑같이 자본주의와 남성지배 사회에서 짓밟히는 희생자들임을 리얼하게 그려낸다.

손택은 이 영화에 대해 “어떤 할리우드 영화도, 또한 인민전선 시대의 프랑스 영화도 이 영화가 지니는 통찰력과 힘없는 여성들에 대한 분개를 따라오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 자신이 기생인 누나의 손에서 자란 미조구치는 남성본위의 사회에서 비참한 희생물이 될 수밖에 없는 여성의 이야기를 일관되게 다루어 여성을 대변하는 감독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특히 오즈와 더불어 서민극(쇼민게키)의 대가로 알려져 있지만 작품상영이 극히 드물게 이루어지는 고쇼 헤이노스케의 <굴뚝이 보이는 곳>이 상영돼 큰 관심을 모았다. 전후 노동계층의 삶에 관심을 기울인 고쇼는 이 영화에서 도쿄 인근 빈민가에서 한 집에 사는 두 부부를 주인공으로 그들이 일상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을 통해 그들의 고단한 삶을 들여다본다. 나루세 미키오의 <부운> 또한 일본의 2차대전 패망 후 인도차이나에서 돌아온 남녀의 불륜의 사랑, 배신, 그리고 남자의 뒤늦은 깨달음을 통해 전후 일본인들의 삶이 얼마나 뜬구름처럼 방향을 잃고 헤맸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남/ 재미 영화평론가, USC영화학과 박사과정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