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이 15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브리핑실에서 진행된 ‘국가인권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이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브리핑실에서 진행된 ‘국가인권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국가인권위원회는 습관성 유산 치료를 위한 병가·휴직을 불허하거나 사직을 요구한 행위는 차별이라며, 해당 지역 도지사와 복지관장에게 재발방지대책 마련 등을 권고했다.

진정인은 습관성 유산 치료를 위해 8주간 안정가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아 병가와 휴직을 신청했으나 해당 복지관은 이를 불허하고 진정인에게 “직장과 임신 중 한 가지만 선택하라”고 사직을 강요했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복지관장은 “진정인이 신청 당시 임신한 상태도 아니고, 습관성 유산이라는 병명이 ‘복무규정”’의 병가, ‘인사규정’의 휴직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 신청을 불허했다고 설명했다. 또 “진정인이 음악치료사인데 업무를 다른 직원이 대체하기 어려워 복지관 이용 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 차질이 생기고 대체인력을 모집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인권위 차별시정위원회는 습관성 유산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등록된 질병이고, 해당 복지관 복무규정, 인사규정, 병가와 휴직의 목적을 종합해볼 때, 복지관장은 진정인의 병가나 휴직 신청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이를 허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 습관성 유산 상태가 되면 그 후의 임신 예후가 극히 불량해질 가능성이 크고, 진정인이 습관성 유산 치료와 안정적인 임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임신 이전부터 안정가료가 필요해 장기 병가 또는 휴직이 불가피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권위는 “대체인력을 채용해 복지관 이용 장애아동의 지속적인 치료를 보장하면서 진정인의 병가나 휴직 등을 허가할 수 있음에도 대다수 인사위원들이 진정인에게 직장과 임신 중 하나만 선택하라는 취지로 이야기한 점 등을 볼 때, 해당 복지관에서 병가와 휴직을 불허한 것은 임신 등을 이유로 한 차별 행위”라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