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묵인희·이동영 교수 연구팀
혈중 타우 단백질로 알츠하이머 예측

 

다양한 방법으로 예측한 뇌 내 타우단백질 축적 그림 혈중 인산화 타우단백질 농도, 전체 타우 농도, 베타 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혈중 전체 타우단백질 농도/베타 아밀로이드 농도의 비율이 뇌 타우 축적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그림. (a)혈중 인산화 타우만으로 예측한 결과 (b)전체 타우단백질로 예측한 결과 (c)인산화타우단백질/베타 아밀로이드 농도로 예측한 결과 (d)전체 타우/베타 아밀로이드로 예측한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양한 방법으로 예측한 뇌 내 타우단백질 축적 그림 혈중 인산화 타우단백질 농도, 전체 타우 농도, 베타 아밀로이드 농도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혈중 전체 타우단백질 농도/베타 아밀로이드 농도의 비율이 뇌 타우 축적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그림. (a)혈중 인산화 타우만으로 예측한 결과 (b)전체 타우단백질로 예측한 결과 (c)인산화타우단백질/베타 아밀로이드 농도로 예측한 결과 (d)전체 타우/베타 아밀로이드로 예측한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내 연구진이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일으키는 타우(τ) 단백질이 뇌에 쌓여있는지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치매 조기 진단을 통한 치매 예방과 친행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학교 의대 생화학교실 묵인희 교수와 정신과학교실 이동영 교수 연구진이 혈액검사를 통해 뇌에 쌓인 타우 단백질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뇌과학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 표지논문으로 이날 실렸다.

타우 단백질은 베타 아밀로이드와 함께 치매 환자들의 뇌에 쌓이는 독성 단백질이다. 치매는 지능과 기억 등 정신적인 능력이 현저히 감퇴한 질병으로 알츠하이머형이 전체 환자의 70% 가량 차지한다. 뇌세포 손상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려워 최대한 빨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진은 핏속에 있는 타우 단백질에 주목했다. 연구에 참여한 76명을 상대로 혈액검사를 진행한 결과, 혈중 타우 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 타우 단백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연관성을 연구진이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혈액검사는 진단 정확도를 뜻하는 민감도 80%, 특이도는 91% 수준이다.

치매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타우 단백질의 뇌 축적 여부를 검사한다. 지금까지는 고액의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만 뇌에 쌓인 타우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을 적용한 진단법이 나오면 환자들의 검사 비용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연구진이 선행 연구에서 발굴한 베타-아밀로이드 예측 기술을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혈중 타우단백질 농도와 혈중 베타-아밀로이드 농도의 비율을 이용해 뇌 내 타우단백질 축적을 예측한 결과 현재까지 85%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와 관련된 추가 지표를 발굴, 치매 예측 정확도를 95% 수준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를 초기 단계에서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돼 치매의 예방과 진행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