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 전국모임 공동대표 전민수 목사

@15-3.jpg

“16∼18만에 이르는 결식아동이 방치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사회가 책임져야 합니다.”

법제화를 위한 지역아동센터 전국모임 공동대표인 전민수 목사는 지속되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공부방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은 날로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각 가정의 책임으로만 돌릴 문제는 아니라는 것이다.

전 목사는 “70∼80년대에 산업개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소외된 계층에 속하는 아이들의 교육 문제가 불거졌다”며 “공부를 지도해 줄 사람이 없는 것은 물론이고 아예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아이도 부지기수로 생겼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봉천동을 필두로 야학의 성격을 가진 ‘공부방’이 등장했으나 당시에는 공부방 활동을 운동권 성향으로 매도해 버리는 현실 때문에 어려움도 많았다고.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공부방의 성격도 많은 부분에서 변화되기 시작했다.

“시대가 변하자 공부방 이용자들의 욕구도 달라졌습니다. 이에 맞추기 위해 통합적인 복지 지원이라는 개념이 도입됐습니다.”

학업을 지도하는 역할에서 한 걸음 나아가 아이들의 방과후 생활까지 책임지는 보육까지 포괄하게 됐다는 것이다.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결식아동들에게 무료 급식도 시행하고 있다.

“현재 각 지역에 있는 공부방들은 그 성격과 운영방식이 여러 면에서 차이가 납니다. 복지관의 지원을 받는 곳이 있는가 하면 개인이 운영하는 곳도 있어 시설이나 내용에서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법제화된 지원체계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재정자립도는 10% 미만에 불과합니다.”

현재의 공부방이 처한 현실이자 공부방 법제화가 필요한 이유다.

“공부방 법제화는 지금의 열악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최선책입니다. 법이 생기면 공부방 운영에 대한 지원을 받을 근거가 생기기 때문이죠. 공부방이 필요한 아이들이 18만 가까이 되기 때문에 적어도 6천개 정도는 있어야 합니다. 200여개에 불과한 현실로는 갈 곳 없는 아이들을 거리로 내모는 것이나 마찬가집니다.” 한 개 동에 하나 정도의 공부방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 목사의 주장이다.

“공부방 법제화에 관해 칼자루를 쥐고 있는 보건복지부가 미진하게 대응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러나 국회의원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기에 희망은 있습니다. 보이지 않게 늘어나고 있는 절대빈곤층의 아이들은 이제 사회가 맡아야 할 부분입니다. 아이들을 위해 공부방 법제화가 이뤄지는 그날까지 싸울 것입니다.”

조혜원 기자nancal@womennews.co.kr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