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가족에 대한 복지혜택, 인력개발, 취업과 창업지원, 육아와 보육 등 프로그램이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과 더불어 통합적으로 제공돼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수원에 사는 한부모 가장 박명희씨는 35세 나이에 맨몸으로 이혼을 했기 때문에 “경제력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그러나 박씨는 현재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돈’

이 아니라 ‘삶에 대한 의지’라고 말한다.

“사람들 대하면서 왠지 모를 위축감이 생기고 서글프고 서러워요. 끊임없이 왜 살아가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묻고 삶에 대한 의지를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죠.”

한부모 여성가장과 가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적지 않다. 실직여성가장을 위한 직업교육과 창업지원,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혜택과 인력개발 등이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고 대상자의 상당수가 한부모 여성가장들이다.

그러나 ‘정서적인 지원’이 빠진 복지·교육 프로그램만으로는 한부모 가족들이 자신감을 갖고 삶을 설계하고 조정해 나갈 수 있게 도움을 주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복지·훈련·정서적 지지 동시에 이루어져야

지역단위로 지원기관 네트워크 결성 바람직

반면 민우회와 같은 여성단체들은 한부모 가족 집단상담과 지지 프로그램들을 통해 많은 한부모와 그 자녀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지만 막상 먹고사는 문제에 있어 대응책을 마련해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큰 한계를 느낀다.

이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여성부는 노동부와 복지부, 정통부, 교육부와 각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는 여성가장 훈련 및 자활 프로그램들과 민간단체의 상담·지지 프로그램들을 연계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계획하고 있다.

김애령 여성부 정책개발평가담당관은 “지역 내에 있는 기관들이 서로 협의네트워크를 결성한다면 복합적인 어려움을 안고 있는 한부모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선 저마다 다른 유형의 사업을 벌이고 있는 각 부처와 지자체가 현재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보다 넓은 시야를 가져야한다”고 말했다.

조이 여울 기자 cognate@womennews.co.kr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