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기금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되는 화해·치유 재단 출범일인 2016년 7월 28일 서울 중구 순화동 재단 사무실 건물 앞에서 12.28 합의강행과 화해치유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시민들과 대학생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기만적인 재단설립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참고사진)
일본 정부 기금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되는 '화해·치유 재단' 출범일인 2016년 7월 28일 서울 중구 순화동 재단 사무실 건물 앞에서 12.28 합의강행과 화해치유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시민들과 대학생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기만적인 재단설립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참고사진) ⓒ뉴시스·여성신문

외교부는 27일 화해치유재단 해산 문제와 관련해 “지혜롭게 이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노규덕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에 참석해 가진 한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 총리에게 화해치유재단 해산을 사실상 통보한 것과 관련해 추진 상황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노 대변인은 재단 해산 문제를 둘러싼 한일 외교당국간 협의가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25일 정상회담에서 관련 논의가 있었고 이튿날 이어 개최됐던 강경화 장관과 고노 외무대신 간의 회담에서도 관련된 협의가 있었다”며 “한일 간 여러 현안에 대해 각급에서 수시로 외교적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한일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국민의 반대로 화해치유재단(이하 재단)이 정상적 기능을 못 하고 고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혜롭게 매듭지을 필요가 있다”고 말해 사실상 해체를 통보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정부와 필요한 외교적인 협의를 해나갈 예정”이라며 “강 장관 귀국 이후 지침이 내려지면 후속 협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화해치유재단은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5년 12월28일 체결된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됐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