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여성일자리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성북구청
‘성북구 여성일자리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성북구청

기업 35%는 여전히 “채용 부담”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사회적 비용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여성이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연근무제 등 경력단절 방지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난해 고용노동부가 발간한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에 따르면 여성 경제참여율은 20대에 70%에서 30대 때 50%대로 뚝 떨어진다.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에 따른 경력단절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미미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의 여성 경력단절 규모 조사에 따르면, 15~54세 이하 기혼여성 중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비율은 △2014년 22.4% △2015년 21.8% △2016년 20.6% △2017년 20%로 점차 줄고 있다.

연령대별 현황도 마찬가지다.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가장 많은 30~39세 비율은 △2015년 37.5%에서 △2016년 35.6% △2017년 33.8%로 줄고 있다. 이는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재고용을 촉진하는 정부 정책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유연근무제, 육아유직 활영을 독려하는 등 기업의 인력 관리제도가 맞물려 일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현재 여성가족부에서는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방지와 재취업을 위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운영하며, 생애주기별 취업지원을 하고 있다.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고용 기업을 위한 지원도 강화했는데, 이들을 재고용하면 세액공제율을 기존 10%에서 30%까지 확대하는 등의 정책을 실행 중이다.

실제 기업의 인식도 미미하지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33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력이 단절된 여성 채용에 부담을 느낀다는 기업은 35%였다. 이는 지난해 조사결과인 39.6%보다 4.6%p 감소한 수치다. 또한, 올해 실제로 이들을 채용한 경험이 있는 기업은 48.3%로 지난해 동일 조사(45.7%)보다 증가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아직도 경력이 단절된 많은 여성들이 원래 일하던 직무나 직장이 아닌 서비스나 단순노무 직종으로 전환해 취업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사회 복귀를 위해 채용 기업에 대한 세재지원 강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