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서울 연남동 경의선숲길에서 시민단체 연대체 #미투 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성차별·성폭력 끝장집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며 홍대 거리 일대를 행진하고 있다.
지난 7일 서울 연남동 경의선숲길에서 시민단체 연대체 '#미투 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 주최로 '성차별·성폭력 끝장집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며 홍대 거리 일대를 행진하고 있다.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여가부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특별점검’ 사전 온라인 조사 결과

공공부문 종사자 6.8% 최근 3년내 성희롱·성폭력 경험

공공부문 종사자의 6.8%는 최근 3년간 성희롱·성폭력을 당한 적 있으나, 대개 그냥 참고 넘어갔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절반가량은 기관 내 고충상담창구 운영 등 정보를 모르고 있었다. 약 30%는 “내 직장은 성희롱·성폭력 사건을 적절하게 처리할 것 같지 않다”며 불신을 표했다.

여성가족부는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 종사자 56만9000명을 대상으로 최근 3년 내 성희롱·성폭력 피해경험, 피해유형, 사후 대처 등을 지난 4주간 온라인으로 조사했다. 공공부문 내 성희롱·성폭력 실태 파악을 위한 첫 대규모 조사다. 23만2000명(40.8%)가 응답했다.

13일 공개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6.8%는 자신이 최근 3년 이내 공공부문 내 성희롱·성폭력 사건의 ‘직접적 피해자’라고 답했다.

그러나 피해자들 중엔 아무 대처를 하지 않거나 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았다. 사건 후 대처로는 ‘그냥 참고 넘어감(67.3%)’, ‘직장 내 동료나 선후배에게 의논함(23.4%)’, ‘직장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함(4.5%)’ ‘고충상담창구원이나 관련부서에 신고(3.0%)’ 등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직장상사나 고충상담원에게 도움을 요청했다는 피해자 다수는 사건처리 결과에 불만을 표했다. 사건처리 결과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34.9%)’, ‘그렇지 않다(16.5%)’, ‘보통이다(18.2%) 등 부정적 응답이 69.6%로 높았다. 그 이유로는 46.5%가 ‘가해자에 대한 징계 등 처벌이 미흡해서’를 꼽았다.

직장 내 피해 신고 창구를 모르거나 신뢰하지 못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고충상담창구 운영 등에 관한 정보를 모른다(47.2%)’, ‘비밀보장이 되지 않을 것 같다(29.3%)’ 등이다. 여가부는 “기관 내 홍보와 안내, 고충처리 절차에 대한 상세한 지침 마련, 신고자와 피해자에 대한 불이익 금지, 비밀 엄수 등 기관 내 조치를 보다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 직장의 기관장과 고위직이 성희롱·성폭력 예방에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매우 그렇다(52.1%)’, ‘그렇다(20.1%)’ 등 72.2%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사건이 발생한다면 적절히 처리할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29.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비밀유지가 안 돼서 2차 피해가 발생할 것 같다(37.3%)’, ‘기관 측의 축소·은폐 등 공정한 처리가 어렵다(20.7%)’, ‘체계적으로 사건을 처리할 상담창구나 관련 규정이 없다(20.6%)’ 등이 이유였다.

여가부는 이번 사전 온라인 조사 결과를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방지조치 특별점검’ 기초 자료로 활용,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근절대책 보완과제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