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대, 크게 묻다’ 전시회

“‘어머니’를 벗어내니

돌, 바람, 여자, 숲 그리고

나 그 자체가 되더라”

 

윤석남 작가의 ‘초록방Ⅲ-숲의 침묵’ ⓒ김이승현
윤석남 작가의 ‘초록방Ⅲ-숲의 침묵’ ⓒ김이승현

제주도는 온통 신화가 그득한 곳이다. 흔치 않은 창조 신화까지 있다. 여느 신화들처럼 제주 창조의 신도 남성일까? 아니, 제주의 일상생활을 함께 하는 큰 신들은 죄다 여신들이다. 천지를 가르고 섬 곳곳을 만든 ‘설문대’ 또한 한라산을 베개로 베고 우도를 빨래판 삼는 거대한 여신이다. 한편 여러 설문대의 최후 이야기들 중 가장 대표적인 건 오백장군 어머니로서의 최후이다. 설문대 할망에겐 오백 명의 아들이 있어 매일 커다란 솥에다 오백 명 분의 죽을 끓여먹이던 중 어느 날 죽솥에 빠지고 말았다. 배고픈 자식들이 돌아와 허겁지겁 그 죽을 먹다 솥바닥에서 뼈가 나오자 그제사 어미 살을 먹었다며 몇 달을 통곡하다 그 자리에서 바위로 굳은 게 한라산 영실코스의 오백장군 기암괴석이라는 내용이다.

오늘 만난 전시회는 바로 이 ‘설문대할망 최후’를 모티브로 지어진 오백장군갤러리에서 만난 ‘설문대’ 기획전시회다. 한국의 여성주의 작가 계보를 잇는 중견작가 4인 류준화, 윤석남, 윤희수, 정정엽에게 던져진 “설문대, 크게 묻다”라는 전시회 화두는 어떤 답변들을 이끌었을까. 희생적 모성에 대한 애통함과 찬사로 그득한 갤러리 한가운데에서 만난 작가들의 대답 속에 ‘어머니’는 없었다! 바로 그래서 더 큰 세상의 어머니이자 여성 그 자체인 설문대로 화답되어 있었다.

 

류준화 작가의 ‘어머니의 눈물’ ⓒ김이승현
류준화 작가의 ‘어머니의 눈물’ ⓒ김이승현

전시의 처음은 류준화 작가다. 저멀리 하얀 벽에 연이어 걸린 ‘돌-바람’ 속 설문대는 할망이 아니라 소녀 혹은 젊은 여인이다. 거세게 흩날리는 긴 머리 여인은 홀로 그렇지만 작은 짐승들과 함께 바람을 이고 돌산을 쌓는다. 이 돌들이 마침내 하나의 커다란 돌덩이가 되어 화석 박힌 지구의 역사가 되고 나서야 그녀는 쪼그려 쉼을 청한다. 특히 이 작품은 검은 천정, 크게 갈라진 흙빛 전시장 바닥과 절묘히 어우러져 여신의 고단함과 고독을 오롯이 전해준다. 이에 나도 슬며시 다가가 그녀 곁에 서 본다. 텅 비어 황량한 대지에 단단히 세상을 쌓아나간 소녀의 노고가 전해지니 내가 그녀가 된 것 같다. 이 느낌은 거대여신이 대지를 눈물로, 맨발로 다지는 ‘어머니의 눈물’로도 고스란히 이어진다.  

 

정정엽 작가의 ‘몸짓’ ⓒ김이승현
정정엽 작가의 ‘몸짓’ ⓒ김이승현

다음은 바닥부터 저 높은 천장까지 가득 찬 정정엽 작가의 ‘몸짓’이다. 이 여신은 나이든 여성의 몸으로 봇짐을 든 채 고독히 걸어가고 또 양팔을 들고 날아오른다. 팔짱을 꼈다가 검은 손톱을 세운 채 손깍지를 낀다. 삶이라는 무게를 지고 있지만 결코 무겁게 짓눌리지 않은 중년의 설문대는 공기와 바람을 거뜬히 통과시켜내며 한가득히 자유롭다. 그 주변을 둘러싼 우리네 자화상들까지 함께 보니 저 내면 깊숙이 자유를 품건만 표면으론 서슬퍼런 현실을 만나는 황망한 우리의 모습으로 중첩된다. 기묘한 현실감. 

세 번째는 윤희수 작가다. 섬세한 연필 드로잉의 거대한 돌덩이 하나가 맞은 편 ‘있는 그대로의 돌’들과 엮여 이야기를 건넨다. 백여 장의 스케치 속에서 제주의 다양한 돌상들이 빼곡히 표정을 짓는다. 그런데 정작 그 안에 같이 그려진 여성은 일관되게 홀로 등지고 웅크리고 있다. 수많은 돌상들 속에서 고개를 떨군 그녀는 어떤 상념에 젖은 걸까. 그 상념의 결과가 맞은 편 ‘참 나로 존재하는 돌’이 아닐까? 내면의 금강과도 같은 내 안의 설문대를 만나게 해주는 작가의 응답이다. 한편 좌측 너머 벽면을 가득 채운 거대한 여성은 아직 채 연기가 가시지 않은 신생 한라산을 깔고 깊숙이 앉은 채 제주 그 자체가 된 듯 하다. 지금 내가 딛고 있는 이 땅 모두가 설문대 여신이라니, 친근하고도 경외로운 감각을 선사받는다. 맞은 편 짙푸른 청빛과 쪽빛으로 이어지는 바다와 숲의 연작은 여신의 심연인 듯하다.

마지막으로 윤석남 작가의 ‘초록방Ⅲ-숲의 침묵’이다. 3면 가득한 연두빛 종이들과 바닥을 매운 푸른 구슬들 위에 오롯이 앉은 목상이 전하는 설문대는 무엇일까? 벽면을 가득 매운 대각선 패턴으로 펼쳐진 수많은 군상들은 우측에 설치된 거울을 만나면서 존재를 감춘다. 이후 벽면은 기하학적 추상체와 자연형상물, 그리고 맞닿은 손들로 채워진다. 거울에 부딪치듯 끊임없이 도돌이표로 사는 우리네가 그 거울의 존재를 깨닫고 손 내밀어 자연 그대로를 고요히 만나라는 메시지는 아닐까?

근사한 전시였다. 내가 딛고 있는 이 제주도 그 자체인 설문대 여신이 오롯히 내게 체화된 채 나=여성 자체를 만나고 나온 듯하다. 다시 갤러리 밖. 거대한 오백장군 바위들로 둘러싸이니 다시금 대상화된 모성의 무게로 짓눌리는 이게 여전한 현실. 그래도 그 안에서 그리고 내 안에서 돌처럼 단단하고 바람처럼 자유로운 창조 여신 설문대를 찾아낸 4인 작가의 깊은 내공을 가슴 그득히 담고 다시 이 세상 속으로 들어간다. 타박타박.

제주돌문화공원/ 4월 22일까지/ 064-710-7486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