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자 지원 문제있다

창근자씨(50, 서울 구로구)는 여성발전센터에서 배운 미용기술을 활용해 노인복지회관, 부녀보호소, 병원 등을 돌며 1년여 동안 미용봉사를 해왔다.

“지금까지 전업주부로 집에만 있다 사회봉사가 하고 싶어서 자격증까지 땄어요. 일단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니까...봉사하는 것보다 이젠 집안일이 더 힘들어요. 만약에 이 일도 돈 받고 하면 힘들겠지요.”

창씨가 1주일에 세 번씩 나가는 미용봉사는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걸린다. 일의 강도는 직장인과 다를 바가 없다. 창씨는 서울 근교로 봉사를 나가지만 대중교통을 왕복 여섯 차례 갈아타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다 보니 여성자원활동센터에서 시간당 400원씩 받는 교통비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

창씨는 이번에 여성부가 지원하는 상해보험 가입 대상으로 추천을 받았다. 그는 “이동을 많이 하다 보니 교통사고 위험도 많다”면서 “상해보험을 들어주면 안심하고 다닐 수 있고 자부심이 생길 것 같다”고 말한다.

이종애씨(40, 양천구)는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어머니 안전지도자회에서 교통안전교육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4-1.jpg

▶ 최근 여성부는 여성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상해보험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여성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을 하면서 항상 교통사고 등을 당할 위험에 처해도 보호받을 길이 없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순회하며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이씨는 교육용 신호기등 무거운 장비를 운반하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말한다. 차량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 그는 올해 자비로 자동차를 구입할 수밖에 없었다. 평소 기름값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이씨를 비롯한 대부분의 회원이 이런 형편이다 보니 자원활동 하는 것이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 게다가 작년말에는 이씨의 동료강사 몇몇이 교통사고를 당하기도 했다. 에버랜드 교통공원에 교육을 나가던 중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를 당했으나 별도의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었고, 차 소유주인 자원활동가가 모두 부담해야만 했다.

이씨와 같이 자원봉사센터나 여성자원활동센터에 등록돼 있지 않고 순수민간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은 그나마 지자체로부터 어떠한 지원도 받고 있지 못하다.

이씨는 8년간 교통봉사에 교통안전교육 강사 경력만 5년째다. 그는 무엇보다 정부에서 하지 못하는 교통안전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자신과 같은 강사들에 대해 사회에서 전문성을 인정해 주길 바라고 있다.

현재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행자부, 여성부, 문화관광부, 복지부 등으로 소관부처가 흩어져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좀더 확대돼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여성부 소관인 여성자원활동센터와 행자부 소관인 자원봉사센터 등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의 수급 관리를 주로 하면서 자원봉사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자원봉사자 교통비 등 실비 제공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곳이 대부분이라고 관계자는 말한다. 또 지역별로 자원봉사 경력을 인정해 주기도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그 경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충남 당진군 여성자원활동센터는 한 달에 한 번 50여명의 여성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해 당진군내 저소득층 172가구에 밑반찬을 만들어 배달하고 있다. 현재 군에서 지원하는 사업비는 한정돼 있는데 봉사를 나가다 보면 추가로 소용되는 경비가 생겨나기 마련이라고 한다.

센터 관계자는 “반찬을 주러 갔는데 화장실이 망가져 있어 보수를 해주다 보면 자재비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 그런 비용은 모두 자원봉사자들의 주머니에서 나오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예전에는 간, 쓸개 다 빼주는 사람이 자원봉사자라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아니다”면서 “앞으로는 여성자원활동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을 국가나 지자체에서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김 정희 기자 jhlee@womennews.co.kr

sumatriptan patch http://sumatriptannow.com/patch sumatriptan patch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